"반부패 숙청 사우디, 부정이익 최대 110조원 환수 기대"

머니투데이 김신회 기자 | 2017.11.19 12:28

사우디 고위 관리 발언…숙청 군부로 확대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AFPBBNews=뉴스1
사우디아라비아 당국이 부정부패 단속으로 최대 1000억 달러(약 110조 원)에 이르는 부정이익을 환수하길 기대한다고 블룸버그가 사우디의 한 고위 관리의 말을 빌려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리에 따르면 이번 단속에 걸린 왕족과 관리, 투자자들은 재판을 피하는 조건으로 합의를 종용받고 있다. 이들이 합의를 수용하면 특별위원회를 통해 조건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고 한다.

사우디 당국은 이들의 전체 재산이 아닌 부정이익만 몰수 대상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사우디 당국은 이들이 지난 수십 년간 챙긴 부정이익이 최소 1000억 달러는 될 것으로 본다. 이 가운데 환수할 수 있는 자금은 500억~1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우디 금융당국은 구금 중이거나 조사 중인 인물들의 거래계좌를 이미 동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 실세로 왕위계승 서열 1위인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사우디 왕세자는 이달 초 반부패위원회를 통해 왕자와 전·현직 고위관리, 기업인 등을 잡아들였다. '사우디의 워런 버핏'으로 통하는 알왈리드 빈 탈랄 왕자도 단속에 걸렸다. 부패 단속이 전방위로 확대되자 일각에서는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 무함마드 왕세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돌기도 했다.


사우디 고위 관리는 이번 반부패 숙청이 최근 군부로 확대돼 국방부 전직 관리 14명과 2명의 국가수비대 전직 관리 등이 역시 부패 혐의로 구금됐다고 전했다. 미텝 빈 압둘라 왕자는 숙청 초기에 이미 국가수비대 담당 장관에서 해임됐다.

칼리드 알팔리 사우디 에너지장관은 이번 숙청이 외국인 투자나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인 사우디아람코의 IPO(기업공개)에는 해를 입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독일 본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3)에서 "많은 외국인 투자자들과 연락하고 있는데 모두가 이번 사태를 제한적인 국내 문제로 이해한다"며 "사우디 정부는 벌써 했어야 할 집안 청소를 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23억 갚으면 '10억 빚' 또…"더는 못 갚아줘" 박세리, 이유 있었다
  2. 2 "이게 살짝 난 상처인가요?" 아들 얼굴 본 아버지 '분통'
  3. 3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4. 4 '처형 강제추행' 혐의 유영재, 검찰 송치…선우은숙 측 녹취록 인정
  5. 5 절반이나 남아 생산라인 세웠다…재고 쌓인 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