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정원 돈 받은 靑 여론조사업체 돌연 해산

머니투데이 백인성 (변호사) 기자 | 2017.11.02 02:01

[the L] 朴 청와대, 총선 앞두고 '친박 지원용 여론조사' 후 국정원 돈으로 5억원 정산…檢,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검토



지난해 청와대가 20대 총선을 앞두고 '친박계 지원' 목적으로 자체적으로 실시한 비공개 여론조사 비용 5억원을 국정원에 요구해 특수활동비로 대납한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이 여론조사를 수행했던 업체가 최근 돌연 합병을 통해 해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당시 여론조사와 비용 정산에 관여했던 청와대 정무수석실 관계자들의 공직선거법 위반 여부를 검토 중이다.

1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양석조)는 지난해 청와대가 발주한 대구·경북(TK) 지역 비공개 여론조사 비용이 국정원의 특수활동비로 처리된 정황을 최근 포착하고 이를 수주한 여론조사업체를 압수수색한 뒤 당시 회사 대표를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관련 청와대 참모들의 소환도 검토 중이다.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실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자체적으로 TK 지역에서 실시한 비공개 여론조사 비용을 사후정산해야 한다며 국정원에 자금 대납을 요청했다. 국정원은 특수활동비 5억원을 정무수석실에 지급했고, 정무수석실은 이 돈으로 여론조사 비용을 정산했다.

검찰은 이헌수 전 국정원 기획조정실장 등 전·현직 국정원 직원들을 최근 수차례 소환조사하면서 이 같은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지난해 청와대 정무수석에는 6월까지 현기환 전 수석, 이후에는 김재원 전 수석이 재직했다.

이 여론조사는 당시 여당이었던 새누리당 경선에서 이른바 '진박'으로 불렸던 핵심 친박계 후보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청와대가 정당 공천에 개입했다는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시 청와대로부터 여론조사를 수주한 업체는 2014년말 서울 여의도에서 설립된 여론조사업체 A사다. 공식적으로 이 회사의 대표이사는 서모씨였지만 이사를 맡은 청와대 정무수석실 행정관 출신의 이모씨가 사실상 대표로 활동했다.

한편 이 회사는 지난달 10일 돌연 해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까지 이 회사 이사로 있던 박모씨가 임원으로 있는 B사에 흡수합병되면서다. B사는 2009년 설립돼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10여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씨는 합병 후 존속법인인 B사의 등기이사로 자리를 옮겼다. 검찰은 B사를 압수수색하고 이씨를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 관계자는 "B사에 A사의 자료들이 그대로 있어 B사를 압수수색했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더엘'(the L)은 이씨에게 법인을 돌연 합병·해산한 이유와 청와대의 여론조사를 수행한 대가로 국정원의 특수활동비를 받은 경위 등을 질의했지만 이씨는 "설명하고 싶은 것들이 있지만 그 당시 공직에 있던 분들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것이 많아 답변이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검찰은 당시 친박계 지원을 위한 여론조사에 관여한 현 전 수석과 신동철 전 정무비서관 등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직선거법 제9조는 공무원 기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자가 선거에 대한 부당한 영향력의 행사 기타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검찰은 박근혜정부의 실세로 이른바 '문고리 3인방'으로 불렸던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을 국정원으로부터 약 40억원의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은 혐의로 1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두 사람은 지난달 31일 검찰에 체포된 뒤 이틀간 서울중앙지검에서 조사를 받아왔다. 검찰은 이 전 비서관과 안 전 비서관을 상대로 국정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를 건네받은 경위와 돈의 용처를 집중 추궁했다.

이 전 비서관과 안 전 비서관은 국회 불출석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을 뿐 그동안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해 처벌을 받지 않아왔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