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테슬라의 두 얼굴

머니투데이 황시영 기자 | 2017.09.27 05:30

[우리가 보는 세상]

편집자주 |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들이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지난달 중순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레몬트에 있는 테슬라 공장을 찾았을 때다. 미국의 '새로운 혁신과 자존심'을 상징하듯 공장 입구에는 성조기와 캘리포니아주 깃발, 테슬라 깃발 3개가 동시에 나부끼고 있었다. 과거 GM이 쓰던 공장을 사들여 개조한 이 하얀색 공장은 '원루프(one roof·하나의 지붕)' 기준 세계 최대 규모 공장이라고 했다.

기대가 컸던 탓일까. 테슬라 본사의 '쇼룸'은 생각보다 너무 작았다. 서울 시내에 있는 웬만한 자동차 매장 규모보다 작았지만, 여기서부터 목걸이를 걸고 공장 안내를 받게 되고 회사 로고가 새겨진 옷도 팔고 있었다.

공장 투어 반응은 엇갈렸다. 세계 유수 자동차 공장들을 견학해본 현지인은 "자동차 문을 한 번에 찍어내는 큰 기계가 다른 데 없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를 제외하면 별로 인상적이지 않았다. 자동화 수준이 크게 높지 않았다"고 평했다.

테슬라는 과연 미국의 '새로운 자존심'일까. 테슬라를 바라보는 세상의 시선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전기차 혁명을 가져온 '혁신'의 아이콘, 또 하나는 2003년 설립 이후 14년간 2번의 분기를 제외하면 적자만 내오면서 누적 100억달러(약 11조3600억원) 부채를 안고 있는 '과대 포장' 기업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에서 "현실은 멋진 고점(高點), 지독한 저점(低點), 그리고 끝없는 스트레스"라고 한 것처럼 테슬라는 두 개의 얼굴을 한 야누스 같은 느낌이다.

그동안 테슬라는 약한 점(기계적인 견고함)을 부각하지 않고, 터치스크린 조작 및 혁신적인 외관(소프트웨어)을 마케팅해 시장의 인정을 받았다. 영화 아이언맨의 실제 주인공인 머스크의 스타성도 한몫했다.


일반 배터리를 차의 바닥에 깔 수 있다는 생각을 처음 했고, 8000여개 배터리를 묶은 배터리팩이 폭발하지 않는 '설계 특허' 등 기술적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 회사가 자랑하는 자율주행 기능인 '오토파일럿'은 도심에서는 교통 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해 사용이 불가하며, SAE(자동차공학회) 기준 2단계에 불과하다.

지난해 '모델S'의 카메라가 반대편 차선의 트레일러 트럭을 인식하지 못해 트럭 밑으로 주행하는 바람에 운전자가 사망한 사고는 치명타였다. 카메라에 대부분 의존해오던 테슬라는 사고 이후에야 레이더 센서를 강화했다. 반면 완성차업체들은 전부터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센서의 3자 조합을 자율주행 기술에 적용해오고 있다.

프레몬트 공장 리셉션에는 'Accelerating the world's transition to sustainable energy(지속가능 에너지로 전환을 앞당기자)'고 크게 적혀 있었다. 머스크 CEO는 "모델3를 위해 추가적 자본조달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결국 지난달 모델3 생산비용 조달을 위해 정크본드까지 발행했다. 테슬라가 앞으로 계속 '생존'하면서 '에너지' 회사로서 비전을 달성할 수 있을지 두고 볼 문제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60대 맞아?" 아르헨티나 미인대회 1위 나이 화제…직업도 화려
  5. 5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