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네이버 新미디어 프로그램 반길 수만 없는 이유

머니투데이 이해인 기자 | 2017.07.17 03:00
‘3060억원’ 대 ‘300억원’.
네이버의 뉴스 전재료를 놓고 네이버와 언론계의 시각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안민호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자체 개발한 ‘디지털 뉴스 소비 지수’를 활용, 네이버의 적정 전재료가 3060억원에 달한다며 전재료를 지금의 10배 가량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들이 PC, 모바일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포털에 체류하는 시간 중 약 40%가 뉴스 이용과 관련됐다는 조사 결과를 그 근거로 제시했다. 반면 네이버는 “뉴스를 소비하는 시간이 전체 체류 시간의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며 근거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다. 현재의 전재료 산정기준에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통계의 오류가 있다는 것인데, 이는 이제껏 뉴스 이용 데이터와 관련 매출 자료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던 포털 책임도 없지 않다.

사실 네이버와 언론계의 근본적인 시각차는 뉴스 콘텐츠 가치를 어떻게 보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언론계는 이용자 유입 효과 등 뉴스 콘텐츠가 유발하는 부가가치를 포함해 콘텐츠의 제값을 매겨야 한다고 호소해왔다. 뉴스가 포털로 이용자들을 끌어들이는 핵심 콘텐츠로 작동해온 만큼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여기에는 포털의 공짜 뉴스 유통으로 잃은 언론사들의 기회 비용까지도 포함된다. 하지만 네이버는 전체 콘텐츠 대비 뉴스 소비율을 근거로 콘텐츠적 가치를 애써 외면하고 있다.

이 때문인 지 네이버가 새롭게 제시한 미디어 수익 배분 프로그램 역시 그다지 달갑지만은 않다. 네이버는 최근 뉴스 페이지에서 벌어들이는 광고 수익 중 70%를 언론에 나눠주는 프로그램을 시행하겠다고 공언했다. 또 100억원 규모의 ‘구독펀드’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전재료에 더해 연간 200억원에 상당하는 혜택을 언론 생태계에 추가 제공하겠다는 제안은 한편으로 솔깃하다. 하지만 네이버가 쳐놓은 가두리에 더 갇히는 신세가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네이버 이용자들의 선택을 하나라도 더 받기 위한 언론사들의 무한 경쟁이 촉발되면서 당분간 독자 플랫폼으로 뭘 해보겠다는 생각은 버려야 할 지 모른다.


상생은 생태계 그 자체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네이버는 그동안 웹툰, 웹소설, 일러스트레이션, 농수산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값 받기’ 캠페인을 진행해왔다. 네이버가 ‘푸드윈도’ 사업을 위해 강원도의 백골뱅이 생산자를 찾아 꼭두새벽부터 3시간이 넘는 거리를 달려갔던 것처럼, 뉴스 콘텐츠 부문에서도 생태계 발전을 위한 보다 진정성 있게 고민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베스트 클릭

  1. 1 유재환 수법에 연예인도 당해…임형주 "돈 빌려 달라해서 송금"
  2. 2 "나랑 안 닮았어" 아이 분유 먹이던 남편의 촉…혼인 취소한 충격 사연
  3. 3 "역시 싸고 좋아" 중국산으로 부활한 쏘나타…출시하자마자 판매 '쑥'
  4. 4 "파리 반값, 화장품 너무 싸"…중국인 북적대던 명동, 확 달라졌다[르포]
  5. 5 "현금 10억, 제발 돌려줘요" 인천 길거리서 빼앗긴 돈…재판부에 읍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