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수학도 절대평가?…통합사회·과학만 추가 주장도

뉴스1 제공  | 2017.07.07 17:20

김상곤 부총리 취임 후 2021수능 개편안 속도
다 바꿀지, 일부 과목만 추가할지 전환범위 고민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경기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지난달 1일 오전 수능 6월 모의평가를 치르고 있다. /뉴스1 © News1 오장환 기자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의 취임으로 2021학년도 수능개편에 속도가 붙고 있는 가운데 절대평가 전환범위와 출제과목 구성이 최대 쟁점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절대평가 전환범위는 일부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바꿀지, 곧바로 모든 영역에 적용할지를 놓고 의견이 팽팽하다.

출제영역 구성은 국어·영어·수학·한국사·통합사회·통합과학 등 공통과목만으로 치를지, 공통과목·선택과목을 함께 볼지를 두고 주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7일 교육부에 따르면 다음 달 초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치를 2021학년도 수능기본계획을 발표한다. 수능기본계획은 학생·학부모·교사들이 내용을 미리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시행 3년을 앞두고 공개한다.

2021학년도 수능은 새 교육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을 처음으로 적용하는 시험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1학년 때 공통과목(국어, 영어, 수학,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을 이수하고 2·3학년 때에는 문·이과 구분 없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다양한 선택과목(일반선택, 진로선택)을 듣는 것이다. 교육과정 자체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수능개편의 폭도 예년보다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순차적 전환이냐, 전과목 일괄 전환이냐

그 개편의 중심에 절대평가 적용범위가 있다. 그동안 수능 절대평가 전환여부가 화두였지만 김 부총리가 취임하면서 전환범위로 옮겨붙었다. 김 부총리는 지난 6월29일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를 통해 "궁극적으로 수능은 절대평가로 운영해야 한다"며 사실상 절대평가 전환을 시사했다.

수능 절대평가 전환범위에는 현재 두 가지 방안이 거론된다. '순차적 전환'과 '전 과목 일괄전환'이다.

현재로서는 순차적 전환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 부총리는 지난달 29일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를 통해 "수능 절대평가 전환에 따른 혼란과 부작용은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는 속도조절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5일 취임식 후 기자간담회에서도 "한국사와 영어에 수능 절대평가를 시범적으로 도입했는데 이를 어느 정도 확대할 것인가에 대해 의견수렴 과정을 거칠 것"이라며 여지를 뒀다. 물론 전 과목을 일괄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김 부총리는 줄곧 "궁극적으로 수능은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이 기본방향"이라고 말해왔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5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17.7.5/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순차적 전환으로 추진할 경우 절대평가 전환대상 교과도 관심사다. 현재 교육계에서는 수학 전환 혹은 통합사회·통합과학 전환 가능성 등을 대표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현재 수학의 경우에는 수포자(수학포기자)란 말이 등장할 정도로 학습에 부담을 갖는 학생들이 많고 또 이를 억지로 극복하기 위해 사교육에 기대는 학생들도 많다"며 "새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학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수학을 절대평가로 전환할 경우 변별력 약화가 우려되기 때문에 주요과목 중에서는 국어가 먼저 대상이 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통합사회·통합과학 전환 주장은 대학 쪽에서 나왔다. 경희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 등 9개 대학 입학처장협의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정부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교육부 등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능 절대평가 전환에 따른 변별력 약화를 우려해 제시한 절충안이다. 협의회는 국어·수학을 현행처럼 상대평가로 두면 변별력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통과목만 치러야" VS "선택과목도 포함해야"

출제영역 구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공통과목만 평가하자는 의견과 선택과목도 포함하자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공통과목 도입을 주장하는 쪽은 새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조한다. 진동섭 한국진로진학정보원 이사(전 서울대 입학사정관)는 "2015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는 기본적인 지식을 쌓기 위한 공통과목은 이수하되 이후에는 학생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교과를 공부하자는 것"이라며 "선택과목에 입시나 평가(수능)가 개입되면 취지가 왜곡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공통과목만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최승후 파주 문산고 교사(전국진학지도협의회 정책국장)는 "새 교육과정에서 수능에 반영할 수 있는 교과목은 71과목으로 현행 수능 출제과목 수(51과목)보다 20과목이나 많다"며 "선택과목 수가 많아지면 응시과목의 난이도에 따라 점수 왜곡현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공통과목으로만 치르는 게 맞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선택과목도 포함해야 한다는 쪽은 교육과정의 파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이다. 안선회 중부대 교수는 "공통과목은 고교 1학년 과정인데 이것만 치를 경우 고교 2~3학년 교육이 비정상화할 수밖에 없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라고 말했다.

관련 설문결과도 있다. 이규민 연세대 교수(교육학부)가 지난 4월 대학 입학처장 38명과 고교 진학지도 교사 272명 등 338명을 대상으로 수능 출제범위 의견을 조사한 결과, 공통과목뿐 아니라 선택과목도 평가하자는 의견이 63.2%로 공통과목만 평가하자는 의견(36.8%)보다 많았다.

김 부총리는 5일 취임식 후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교육전문가들의 의견과 권역별 의견 수렴과정을 충분히 거쳐 수능개편안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고교 선택과목(2·3학년 과정) 목록 © News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