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전략]증권맨이여, 강세장에서 결혼하라

머니투데이 오정은 기자 | 2017.06.23 16:33

코스피 이틀 연속 상승...8.23포인트(0.35%) 오른 2378.60 마감

"증권맨 몸값은 장세에 따라 달라져요. 강세장에서는 연예인하고 결혼했다는 뉴스도 종종 들리고요. 급락장에선 몸값이 추락합니다. 그러니까 강세장이 온 지금이 증권맨 결혼 적기입니다. "

최근에 만난 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우스갯소리로 말했다. 올 들어 코스피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주변에서 한 둘씩 돈 벌었다는 사람이 나타나자 증권가에도 온기가 돌고 있다.

2017년 들어 코스피 지수는 17.4% 올랐다. 많이 오른 종목은 50% 넘게 급등했다.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말, 2000년대 중반 강세장에서 개인 투자자의 '대박'이 속출했던 것과 비교하긴 어렵지만 주식시장에 꾸준히 관심을 가졌던 투자자라면 100만원이든 1000만원이든 1억원이든 손에 쥐게 된 것은 사실이다.

주식시장 뿐 아니다. 부동산 시장은 3년째 활황이 계속됐다.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은 2000만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갭 투자(소액으로 전세 끼고 집을 사는 투자)하는 청년 투자자를 비롯해 강남 큰손까지 억 단위 돈을 벌게 됐다. 서울에 자가 보유 아파트 한 채를 소유한 사람조차 집 값이 1~2억원씩 올랐다. 자산을 가진 자라면 자동으로 자산이 불어난 것이다.

자산 가격이 오르면 부의 효과(Wealth Effect)가 나타나게 된다. 부가 흘러넘치면서 다른 곳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1000만원~1억원 내외로 돈을 번 사람이 대표적으로 바꾸는 것은 자동차다. 강세장인데도 증시에서 죽을 쑤고 있는 자동차 주식이 그래도 희망 있는 이유다. 1억원 이상 거액을 번 사람은 집을 산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불타오르는 곳이 '부동산 시장'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실제로 한국 자산시장의 역사를 살펴보면 주식과 부동산 동반 강세가 나타난 시기에 주식 강세장이 꺾인 뒤에도 부동산 시장은 약 1년 정도 활황을 더 이어갔다.

자산시장 강세 덕분인지 국내 소비심리 지수는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향후 소비회복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소비가 회복되면 내수가 살아나고, 이미 회복된 수출과 함께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게 된다. 한국 경제 호황의 서막이 열리는 것이다.

주식·부동산 시장의 동반 강세를 관망하던 투자자들은 이제야 조심스럽게 질문한다.


"지수가 2350인데 지금 주식을 사도 되나요?"

금투업계 대부분의 펀드매니저와 애널리스트들은 코스피 지수가 충분히 더 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코스피 기업의 이익 증가 속도가 지수 상승보다 빠른 상황에서 지수가 사상 최고가에도 불구하고 저평가이기 때문이다. 연말 또는 내년 중 2600~2700을 여유 있게 돌파할 거란 전망은 설득력이 높다.

하지만 2007년과 같은 폭발적 강세장이 올 것인가에 대해선 회의하는 시각이 적잖다.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먼저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멀리하고 있다는 것. 이는 역대 한국증시의 세 번의 강세장에 뒤따른 급락장의 아픈 추억 때문이다. 2004년~2007년 강세장에서 콧노래를 불렀던 많은 투자자들은 2008년의 공포를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당시 수익률이 급락했던 수많은 펀드의 수익률이 마침내 회복된 것이 올해다. 즉 무려 10년 동안 수익률이 잠겼던 것이다. 주식으로 돈 벌기보다 잃었던 기억이 많은 개인들은 이제 주식시장에 기웃거리지 않는다. 지금 주식시장에서 수급의 주체는 외국인이다. 개인보다 합리적인 외국인 투자자들이 '버블'을 만들 가능성은 높지 않다.

다른 하나는 인구구조다. 최근 부동산 투자, 또는 펀드나 주식으로 돈 벌었다는 사람의 대부분은 50대다. 코스피 12월 결산 주식의 실질주주 비중도 50대가 32.8%로 1위를 차지하니 당연한 일이다. 1968년생~1957년생 '미니 베이비붐 세대'인 이들은 10년 안에 은퇴를 앞두고 있다. 은퇴를 앞둔 사람이 공격적인 투자나 소비를 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저금리시대, 10억원의 현금으로도 남은 30~40년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직면한 현실이다. 고령화 사회로 본격 진입을 앞둔 이번 강세장에서 '부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베스트 클릭

  1. 1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2. 2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3. 3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4. 4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5. 5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