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력 20배 높인 ‘마찰전기 발전기’ 기술 개발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 2017.05.29 09:49

UNIST 백정민‧양창덕 교수팀 주도…소재의 유전상수 높이면 출력 높아져

(왼쪽부터)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의 백정민 교수,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양창덕 교수/사진=UNIST


바람, 진동, 소리, 발걸음 등에서 에너지를 얻는 기술을 크게 발전시킬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의 백정민 교수,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양창덕 교수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이 고분자 두 종류를 결합한 신소재와 금속 전극을 마찰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 마찰전기 발전기’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마찰전기 발전기’를 이루는 소재의 전기적 특성을 바꿔 출력을 20배 높이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마찰전기 발전기는 두 물체가 스칠 때 만들어지는 전하 불균형을 이용해 전기를 만든다. 서로 다른 물체가 접촉하면 각 물체에 있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이동하기 때문에 두 물체가 분리될 때 각 물체에 전하 불균형이 생긴다. 이런 전하 불균형 때문에 전자가 이동하게 되는 데, 이것이 곧 전류다. 마찰전기 발전기는 이 전류를 수확하는 장치라고 보면 된다.

마찰전기 발전기는 양전하를 모으는 ‘금속 전극’과 음전하를 모으는 ‘고분자 유전체’로 이뤄진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유전체로 쓰이는 고분자의 특성을 변화시켜 전기 출력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진은 우선 PVDF(polyvinylidend difluoride)라는 고분자를 기본 물질로 사용했다. PVDF는 눌렀을 때 양전하와 음전하가 양쪽으로 나란히 나눠 배열되는 전기적 성질인 유전성이 강한 물질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기존 센서·배터리 장치에 유용하게 쓰였다.

양 교수는 “유전성이 강해 분극이 잘 이뤄지는 PVDF의 유전상수는 8.6”이라며 “유전상수가 더 커지면 전기 출력을 더 크게 낼 거라고 판단, 다른 고분자를 붙이는 방법을 썼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PVDF에 PtBA(poly(tert-butyl acrylate))를 붙인 새로운 고분자를 만들었다. 이 물질의 유전상수는 16.5까지 증가했다. 그 결과 PVDF를 음전하 대전체로 사용할 때보다 전기 출력이 20배 이상 크게 증가했다.

백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마찰전기 발전기의 음전하 대전체는 유전상수 조절로 출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걸 보여 향후 대전체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나무나 건물 같은 고정된 사물부터 자동차 등 움직이는 사물까지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해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는 기술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게재됐다.

베스트 클릭

  1. 1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2. 2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3. 3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유튜버 한선월' 이해른씨, 자택서 숨진 채 발견…향년 32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