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이 ‘세계 관광산업’ 메카로…힐링의 보고, 레저의 중심

머니투데이 김고금평 기자 | 2017.05.25 05:30

머니투데이 주최 ‘제3회 관광포럼 K-樂:2018 평창 동계올림픽-Before & After 평창’…성공적 경제올림픽 가능성 모색

지난해 강릉 해파랑길에서 열린 걷기여행축제에 참가한 참가자 모습.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25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성공 개최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1998년 나가노올림픽의 채무 올림픽이 될지, 2012년 런던올림픽의 성공 올림픽이 될지 국내뿐 아니라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스포츠를 계기로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이에 따른 문화와 관광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은 올림픽 마케팅의 오랜 숙제이자 염원이기도 하다.

머니투데이가 25일 서울 중구 문화창조벤처단지에서 여는 ‘제3회 관광포럼 K-樂 : 2018 평창 동계올림픽-Before & After 평창’은 강원도 평창에서 시작된 스포츠 열기가 문화와 관광 산업으로 이어져 성공적 경제 올림픽이 될지 가능성을 엿보는 자리다.

포럼은 ‘제1섹션:’Before 평창‘-동계스포츠 중심지에서 4계절 관광지로’와 ‘제2섹션:’After 평창-서울 넘은 아시아 허브로’로 구성된다.

이 자리에서 발표자와 패널은 평창 등 강원도 일대가 올림픽 전·후 지속 가능한 국제적 관광목적지로서 어떤 변화와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Before 평창, 자연관광에서 도심관광으로 ‘4계절 관광’ 변모

평창 대관령의 양떼목장은 느리고 여유있는 '휘게라이프'를 즐길 수 있는 관광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제공=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우선, 평창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가 리조트 위주의 동계스포츠 관광지에서 도심관광과 트레일관광이 가능한 4계절형 관광지로 변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2024년 개통), 동홍천~양양 동서고속도로(2017년 개통) 등 올림픽을 계기로 교통의 혁신적 변화가 이뤄지면서 관광환경이 급변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교통여건의 개선은 기존의 관광 패턴과 다른, 기차와 렌터카를 중심으로 한 도시관광 형태와 윈드서핑 같은 고급 해양스포츠와의 결합으로 변모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안식을 찾는 ‘휘게라이프’ 스타일의 관광도 도입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시작으로 동북아 및 유라시아 연계 교통망 확충도 제시됐다. 양양국제공항의 수용태세 개선이나 속초의 코스타크루즈 출항, 시베리아와 연결되는 통일대비 철도망 구상 등이 그것이다.

올림픽이 열리는 평창, 강릉, 정선 등 삼각 편대의 특화 관광 콘텐츠 계획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평창동계올림픽 5개 특구 주요 내용은 △평창 건강올림픽종합특구(아시아 동계스포츠 메카 및 건강·휴양도시) △강릉 문화올림픽종합특구(첨단 R&D기반 저탄소녹색도시 및 4계절 문화·관광 거점) △금진 온천·휴양 특구(해양·온천 자원 활용한 힐링·휴양 연계 거점) △정선 생태체험특구(산림자원 활용 등 생태체험 거점) △봉평 레저·문화 창작특구(수도권 동계스포츠 배후지 등 문화예술공간 조성)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엠블럼과 공식 마스코트(수호랑, 반다비). /사진제공=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이 지역들은 강원도 18개 시·군 중 관광객 수의 비중이 45%에 이를 정도로 집중도가 높다. ‘소비’에서 ‘영감’으로 진화하는 관광 패턴에 맞게 강원도 지역은 힐링과 여유, 레저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자원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림픽 개최 전까지 돌아봐야 할 수용 태세도 적지 않다. 교통 분야에선 여전히 버스터미널의 시설 상태가 열악하거나 외국어 안내 표기가 없거나 넓은 배차 간격 등이 문제로 떠오르고 숙박 분야는 조식이나 픽업 서비스 미제공이나 장애인 배려 시설의 부족 등이, 식음 분야는 좌식 중심의 시설, 부실한 외국어 메뉴판 등이 해결과제로 남아 있다.

전영철 상지영서대 교수는 “강원도가 올림픽 관광지로서 높은 성과와 효과를 보기 위해선 자연경관 중심에서 벗어나 종합적 관광계획에 걸맞은 관광 벨트 연계가 필요하다”며 “지역관광을 주도할 수 있는 인력 발굴 및 육성에도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After 평창, 올림픽 ‘유산’ 만들어야…‘균형발전 지역 문화관광’

평창대관령에서 즐길 수 있는 패러글라이딩. 평창을 비롯한 강원도 일대는 고급 레저 문화의 보고로 손꼽힌다. /사진제공=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올림픽이 끝난 뒤 관광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은 무엇일까.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올림픽은 7개년 계획수립을 통해 낙후된 공업도시에서 알프스 문화수도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은 다문화에 기반을 둔 다양성의 도시로 거듭났다. 모두 ‘도시브랜드’가 낳은 성공의 결과들이다.

카탈루냐의 지역 문화를 활용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은 ‘장소마케팅’, CODE 프로젝트로 IT 기반 문화 역량을 강화한 2012년 벤쿠버 올림픽은 ‘문화적 위상’, 중국 민박시스템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든 2008년 베이징은 ‘사회적 역량’이 각각 돋보였다.

이영주 강원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2000년대 이후 올림픽의 핵심 화두는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사회, 문화, 환경, 평화, 브랜드 등 다양한 부분에서의 유산화하는 작업으로 확장하는 추세”라며 “올림픽 대회는 지역사회 이미지와 기반시설에 상당한 변화와 지속적 혜택을 가져오므로 유산을 전략화하는 기본계획 수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평창이 유산으로 가져야 할 기본 모델은 ‘지역 문화관광’이라고 이 위원은 꼬집었다. 평창군이 지닌 한국 특유의 문화적 정체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의미 공유의 시간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국제 스포츠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엘리트 체육 인력 양성을 위한 올림픽 시설의 사후 활용, MICE(국제회의 등을 주축으로 한 유망 산업)와 연계한 레저스포츠산업 육성 등이 제시됐다. 올림픽 도시 평창의 브랜드 확대를 위해서는 ‘HAPPY 700’(평창의 평균 고도인 해발 700m 지점이 인간이 지내기에 가장 좋다는 점을 알리기 위한 슬로건) 관련 사업들인 명품 농산물 가치 증대나 ‘윈터 페스티벌’ 구축 등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인 올림픽플라자. /사진제공=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평창군 남북 균형발전도 경제효과나 지역성장의 측면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업 중 하나다. 건강휴양도시라는 콘셉트로 북부지역을 명소화하고, SOC 확충 등을 통해 남부지역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관광산업의 융·복합화는 평창에 남겨진 또 다른 숙제다. 전통문화 자산을 구체화하는 동시에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거나 다언어 서비스 레스토랑의 확대, 올림픽 특구 리조트 기반의 국제회의 복합지구 육성 등도 실행 수립 모델로 제시된다.

최자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올림픽 이후 단·중장기적 관점에서 개최지가 가질 수 있는 이득을 예상하고 도시산업을 발전시킬 전략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며 “여기에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시스템과 개최지 전이 효과를 극대화할 콘텐츠가 준비돼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