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년 전 오늘…"우는 애도 뚝 그친다"는 국정원 전신 탄생

머니투데이 이슈팀 조현준 기자 | 2016.11.11 06:00

[역사 속 오늘] 중앙정보위→중앙정보부→안기부→국정원 순으로 개칭

1961년 8월31일 서울 중앙정보부 남산청사를 방문한 박정희 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는 김종필 중앙정보부장(오른쪽). /사진=국가기록원 제공

56년 전 오늘(1960년 11월11일) 제2공화국 장면 총리는 미국 중앙정보국(CIA) 기능을 담당하는 정보부서로 ‘중앙정보연구위원회’(중앙정보위)를 창설한다. 군과 경찰이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였다.

중앙정보위는 국가기밀 보안 업무, 내란죄 및 반란죄 수사 등을 맡았다. 이듬해 3월 장면 총리는 또 다른 정보기관인 ‘시국정화단’을 설치했다. 장면 총리는 이들 정보기관 첩보로 1961년 봄부터 10여 차례나 쿠데타 정보를 입수했다.

그러나 장면 내각은 쿠데타를 끝내 막지 못했다. 그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군사정변이 성공하면서 제2공화국은 붕괴됐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5월20일 중앙정보위와 시국정화단을 통·폐합하고 ‘중앙정보부’를 설치했다. 초대 부장은 5·16 군사정변의 주역이었던 김종필 전 총리가 맡았다. 중앙정보부 역시 미국 CIA의 대응기관으로 출발했지만 점차 지위가 격상됐다. 국가 안보를 책임지고 주변 공산국가를 상대하기 위해 헌법 이상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진화했다.

특히 '반혁명세력에 대한 효과적 대처'를 목적으로 삼은 중앙정보부는 반정부 세력에 대한 광범위한 감시에 이용되면서 독재정권의 폭압장치로 기능했다.

국민들에게는 무소불위의 수사권을 가진 중앙정보부가 공포의 대상이었다. “우는 애도 정보부장이 온다고 하면 뚝 그친다”는 말도 이때부터 나왔다.


중앙정보부는 이후 이름을 두 차례 더 바꿨다. 1981년 제5공화국 출범 당시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로 개칭했고, 1999년 1월 지금의 '국가정보원'(국정원)으로 명칭을 바꿨다.

국정원 전경. 국정원이 2016년 새로 선정한 원훈 '소리없는 헌신'이 새겨진 원훈석이 보인다./사진=뉴스1
국정원은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중앙정보부 시절 쓰던 원훈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를 지우고 1999년 '정보는 국력이다'를 내세웠다. 이후 2008년 '자유와 진리를 향한 무명의 헌신', 2016년 '소리없는 헌신'으로 원훈을 차례로 수정했다.

2007년 국정원은 <과거와 대화, 미래의 성찰>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김만복 국정원장은 책 서문에 “우리가 만들어낸 과거에 대한 쓰라린 성찰 없이는 국가를 위해 존재하는 국정원, 국민을 위해 일하는 국정원으로 발전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오늘날 국정원은 중앙정보부 이미지를 답습하고 있다. 국정원은 최근 노골적으로 정권 편들기에 나서고 가혹행위를 통해 간첩을 조작하며 선거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사실이 드러나 물의를 빚었다.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