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도, 국회 방문도 안 먹히는 朴…12일 집회가 분수령

머니투데이 김세관 기자 | 2016.11.09 13:37

[the300]野3당, 12일 집회 참여 합의…與도 대규모 집회에 촉각

8일 저녁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하야 촉구 촛불집회'에서 시민들이 촛불과 손피켓을 들고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2016.11.8/뉴스1
박근혜 대통령의 8일 국회 깜짝 방문과 총리 지명권 양보에도 불구하고 야당의 대통령 2선 후퇴 및 퇴진 압박강도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청와대도 야당이 요구하는 2선 후퇴 직접 언급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여 대치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12일 진행되는 대규모 집회가 대통령 거취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5일 집회에서는 서울에서만 주최측 추산 20만명(경찰 추산 4만5000명)이 대통령의 퇴진 구호를 외치며 한 자리에 모였다. 더 많은 참가자가 예상되는 12일 집회를 통해 대통령을 향한 압박강도는 한층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야3당은 당력을 집중해 12일 집회에 참석하기로 합의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9일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대통령의 어제(8일) 국회 (총리 지명권 양보) 제안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아울러 12일 집회에 대해서는 "당력을 집중해 적극 참여하고 국민과 함께 할 것"이라며 이후 정국현안과 경제, 안보 등을 논의하는 회동을 한 번 더 열 방침이다.

특히 박지원 위원장은 이날 야3당 회동에 앞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12일 대규모 집회 이전에 대통령의 결단이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위원장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윤준호입니다'에서 "12일 주말 집회가 굉장히 염려스럽다. 최소한 12일 전에 (대통령이 결단하는) 모습이 가시화 돼야 한다"며 "만약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어정쩡한 태도로 나오면 저도 민심을 따라, 당의 요구에 따라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 내에서 각각 대통령 하야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대선 후보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철수 의원도 이날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만나 12일 집회에 참석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 시장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 요구는 한마디로 대통령이 즉각 물러나는 것이다. 뜻을 같이 하는 정치인들이 함께 해야한다"고 말했으며, 안 의원은 "가장 빨리 혼란을 수습하는 방법은 박 대통령이 물러나고 새로운 리더십을 세우는 방법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야당 뿐 아니라 여당에서도 12일 집회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운 모습이다. 새누리당 비박 중진의원 및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 중심으로 꾸려진 '최순실 사태 진상규명과 국정 정상화를 위한 새누리당 국회의원 모임(약칭 진정모)' 소속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간담회를 갖고 13일 오후 당 소속 시·도지사와 원외위원장들까지 참여하는 비상시국회의를 개최키로 했다.

회의를 13일로 잡은 이유는 12일 박 대통령 퇴진을 목적으로 한 대규모 집회가 예정돼 있는 만큼, 그 결과를 토대로 회의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은 당 지도부 퇴진과 당 해체 요구 등이 주요 의제로 오르겠지만 12일 집회 결과에 따라 대통령 거취 등 더 강경한 사안도 의제에 올릴 가능성이 있다.

회의에 참석한 오신환 의원은 "새누리당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현재 당 모습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말했으며, 황영철 의원은 "새누리당이 책임과 반성을 기반으로 해체를 포함한 새로운 길을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말도 안 되는 휴진하게 된 이유는…" 소아흉부외과 교수 '통곡의 편지'
  2. 2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
  3. 3 신동엽, '대마초 사건' 자폭 개그에…"부끄러운 줄 모르냐" 일침
  4. 4 3시간만에 수정된 '최태원 이혼 판결문'…"파기 사유도 가능"
  5. 5 군중 앞 끔찍한 전처 살해…"안 잡힐 자신 있다" 증발 16년째[뉴스속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