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국산차, 현대차·르노삼성 노사갈등 장기화 우려

머니투데이 장시복 기자, 박상빈 기자 | 2016.09.30 16:28

현대차 생산차질 3조 육박, '긴급조정권' 발동 가능성… 르노삼성 두차례 합의안 부결

↑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 26일 12년 만에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오전 울산시 북구 현대자동차 명촌정문 앞이 한산하다./사진=뉴스1
현대자동차와 르노삼성 등 국내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노사 갈등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경제 위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26일 12년 만에 8시간 전면파업을 벌인 노조는 30일까지 5일 연속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임금협상 과정에서 이뤄진 24번째 파업이다.

노조의 잇단 파업으로 차량 13만1000여대(출고가 기준 2조9000억원) 규모의 생산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회사는 추산하고 있다.

지난 28일 노사 교섭에서 △임금 7만원 인상 △주간연속 2교대 10만 포인트 지급을 골자로 한 사측의 추가 제시안을 기반으로 접점을 모색했지만 결국 막판 결렬됐다.

사측은 "당분간 냉각기간을 갖자"며 교섭중단 의사를 밝혔다. 노조는 다음달 4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추가 파업 등 앞으로의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렇게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정부도 '긴급조정권' 카드를 만지작 거리며 개입 의사를 밝히고 있어 복잡한 방정식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만일 긴급조정권이 발동이 된다면 현대차로서는 1993년 파업 이후 23년 만에 또다시 적용되는 것이다.

이날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잇단 파업과 관련 "일부 기득권을 지키려는 파업이 수많은 취약 근로계층의 생계를 위협하는 낡은 노동 관행이 계속되면 우리 산업이 설 미래는 없을 것"이라며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노조는 "긴급조정권을 언급하며 노조를 궁지에 몰려하고 있다"며 "더 극한 상황에 처해도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생산 차질 규모가 3억원에 육박하는 데다 국민 여론이 따가운 점도 노조의 부담으로 작용해 파업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중소기업계 마저 처음으로 대기업 노사 문제에 성명을 내고 "협력 부품업체의 경우 1일 손실액이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파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 부산 강서구 신호동 소재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조립공장에서 'SM6'가 생산되고 있다./사진제공=르노삼성자동차
한편 르노삼성도 올해 임금협상에서 잠정합의안이 2차례 연속 부결되며 걱정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올 상반기 중형 세단 SM6에 이어 지난달 중형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QM6까지 내놓으며 판매가 탄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자칫 노사 갈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르노삼성 노조는 전날 사측과 마련한 추가 잠정합의안을 조합원 2300여명이 참여한 찬반 투표에 부쳤는데 반대 53%로, 합의안 통과가 부결됐다.

르노삼성 노사는 이후 추석 연휴를 전후로 협상에 나서 추가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으나, 노조는 또 다시 합의안을 부결시켰다.

노사는 1차 잠정합의안에 근무환경 개선 위원회를 노사 공동으로 구성하자는 내용과 잔업·특근 여부를 사전에 미리 고지하고 합의 후 시행키로 하는 등의 내용을 추가해 2차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었다.

그러나 노조는 추가 내용에 대한 세부 계획 등이 부족하다며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노조 내에서 조합원들끼리 합의안에 대한 공감이 수렴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르노삼성 노사는 이에 따라 3번째 합의안을 조만간 다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르노삼성 노조는 다음달 새 노조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있어 임금협상이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아이 낳으면 1억 지원, 어때요?" 정부가 물었다…국민들 대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