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미술품 감정서에 왜 감정자 이름 없나

머니투데이 김지훈 기자 | 2016.08.24 03:23
김지훈 기자.
“진위 측면에서 기대와 다른 감정서를 받으면 답답함을 느끼죠. 하지만 결과와 관련한 소통이 힘듭니다.”(갤러리 대표 A씨)

‘진’ 또는 ‘위’라고 적힌 감정 내용만이 감정료를 낸 의뢰자에게 돌아온다. 국내 근현대 미술품 감정에서 가장 높은 권위를 인정받는 한국미술품감정평가원(감평원)이 발급하는 감정서 얘기다. 감평원은 이 밖에도 여러 면에서 다른 국가와 다르다. 무엇보다 감정서가 너무 ‘간략’하다.

미술계에 따르면 미국, 프랑스 등 미술 시장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감정자 이름이 기재돼 감정서가 발급된다. 하지만 감평원에서 발급하는 감정서는 무기명이다. 감정사가 누구인지 모르니 직접 반론을 제기하거나 해명을 요구하기 힘들다.

감평원에서 감정위원으로 활동하는 B씨는 “실명을 공개하면 감정 결과에 대해 보복하거나 관련 청탁 또는 회유에 노출되는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맞섰다.

감정 근거에 대한 설명도 없다. 장 미셸 르나드 프랑스전문감정가협회 부회장은 “프랑스의 감정사들은 감정서에 적는 문장을 고민한다”고 했다. 작품의 진위나 어떤 시대에 제작되었는지 등 감정 결론에 이르게 된 배경을 필요하면 수사적인 표현도 곁들이며 구체적으로 의뢰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감평원 감정서에는 구체적인 감정 이유가 안 적혀 있다. 한 미술 시장 컨설턴트는 “감정서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꾸미느냐는 서비스의 문제이자 책임감과 관련된 사안임에도 우리나라 감정에서는 무시되고 있다”고 했다.


조직 성격도 공통의 이익을 함께 하는 의미 정도의 협회가 아닌 ‘영리 목적’의 주식회사라는 점도 일반적인 형태는 아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새 장관 취임 등 변수가 있지만, 9월 중에는 미술품 유통 투명화를 위한 관련 법 제정 등 정책 방향을 확정할 예정”이라며 “정책 확정 이후 감정서 양식과 관련한 연구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가 감정기구가 설립되면 감정 시장의 경쟁은 지금보다 거세질 것이다. 감평원이 그간의 권위를 인정받고 감정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지려면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를 더는 늦춰서는 안 될 때다.

베스트 클릭

  1. 1 '선우은숙 이혼' 유영재, 노사연 허리 감싸더니…'나쁜 손' 재조명
  2. 2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3. 3 장윤정♥도경완, 3년 만 70억 차익…'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아
  4. 4 갑자기 '쾅', 피 냄새 진동…"대리기사가 로드킬"
  5. 5 '돌싱'이라던 남편의 거짓말…출산 앞두고 '상간 소송'당한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