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추산하는 중국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비율은 240~270% 수준으로, 10년 전 150%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 경기둔화 우려가 나오기 전에 해당 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은 부채 규모가 그만큼 급증했기 때문이다.
니콜라스 베론 피터슨경제연구소(PIIE) 방문연구원은 9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방송 CNBC와 인터뷰에서 "역사적으로 그만큼의 부채가 있으면 경제가 혼동에 빠진다"면서 "중국 GDP가 지금껏 급속도로 성장한 점을 고려하면 더 그렇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파이낸셜타임스(FT)의 자체 분석 결과 현재 중국의 총 순부채는 163조위안(약 2경8786조원), GDP의 23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부채 비율과 비슷하지만 신흥시장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FT와 비슷한 방식으로 분석한 중국의 부채 비율은 지난해 9월 말 현재 249%였다. 신흥시장 평균치인 175%를 훌쩍 웃돈다. 미국과 유로존은 각각 248%, 257%였고 일본은 379%에 달했다.
중국의 부채는 절대 규모도 문제지만 늘어나는 속도가 더 위협적이다. 중국의 명목 GDP는 지난해 약 4조위안 증가했는데, 같은해 사회융자총액은 15조위안이나 증가했다. 사회융자총액은 은행 대출을 비롯한 유동성 공급 총량을 반영한 지표다.
그러나 사람들은 기존 대출을 상환하는데 급급할 뿐이다. 막대한 규모의 신규 대출이 경제 성장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는 것. 베이징대 산하의 크리스토퍼 볼딩 HSBC 경영대학원 교수는 "중국이 연료통에 제트연료를 넣고 가속 페달을 밟고 있지만 자동차 엔진은 회전 속도가 높아지면서도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는 더 더뎌지고 있다"고 말했다.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중국 그림자금융(섀도뱅킹)이 사회융자총액에 포함되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미국 헤지펀드 헤이먼캐피털매니지먼트 설립자인 카일 배스는 스위스 투자은행 UBS의 자료를 인용해 중국의 섀도뱅킹이 지난 3년간 6배나 커졌다며 중국에서 가장 먼저 신용문제가 터질 곳으로 섀도뱅킹을 지목했다.
그러나 일각에서 우려하는 것과 같이 중국의 막대한 부채가 시한폭탄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CNBC는 분석했다. 급증하는 부채가 앞으로 채권자에게 골칫거리가 되겠지만, 금융위기로 빠진다는 전망은 중국 경제운용 방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설명이다.
드렉 시저스 미국기업연구소(AEI) 연구원은 "중국 금융시스템의 최우선 목표는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당국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라며 "대부분이 정치적인 문제이고 그 다음이 수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이 결코 중국의 금융위기를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유기업은 물론 사기업까지도 아우른 금융기관들이 결국 당국의 하부 기관과 같이 행동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또 중국 지도부 사이에선 사회 안정을 유지하려는 지령이 있기 때문에 채권자들이 서양과는 달리 부채 재조정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따라 부채로 인한 시한폭탄이 터질 일은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베론 PIIE 방문연구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현상은 중국에서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한다"며 "서양에서의 금융위기가 발생한 것은 금융시장이 시장주도라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는 그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