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대기업' 카카오에 대한 기대와 우려

머니투데이 이해인 기자 | 2016.04.01 03:00
과감한 투자, 끝없는 도전, 급격한 성장. 벤처로 출발한 카카오가 어느새 거대한 공룡 IT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커진 몸집과 영향력은 2014년 다음과의 합병 때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자산이 5조를 넘기면서 대기업 집단 지정이 예고돼 있어 카카오의 빠른 성장 속도를 또 한번 느끼게 된다.

카카오의 성장 스토리는 ‘승부사’ 김범수 의장의 성격을 보여주듯 하다. 김 의장은 창업 4년 만에 지금의 카카오를 만든 핵심 서비스 카카오톡을 출시했다. 카카오톡은 7개월 만에 가입자 수 200만명을 돌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이후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각종 서비스를 출시하며 영역을 확장했다. 카카오스토리, 카카오 게임하기 등을 연달아 선보이며 수익 기반도 마련했다. 2014년에는 국내 포털 2위인 다음과 합병하며 모바일에 이어 웹까지 장악력을 넓혔다.

최근에는 가능성 있는 기업 인수에 공격적으로 나서며 또 한 번의 성장을 노리고 있다. 내달 대기업 집단 지정이 예고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연초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지 않았다면 대기업 지정을 피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의 계열사는 58곳에 달한다.

그러나 이처럼 위상이 높아진 카카오에 대한 우려의 눈빛이 어느 때보다 강한 것도 사실이다. 가장 심각한 게 ‘골목 상권 침해’ 논란이다. 카카오는 각종 O2O(온·오프라인연계) 서비스를 출시하며 골목 상권 침해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카카오의 모바일 혁신이 삶을 더 편리하게 바꾸고 있다는 데는 많은 사람이 공감한다. 그러나 변화의 과정에서 동반되는 고통 해결에는 아직 미숙한 모습이다. 각종 논란 해결과 방지를 위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더 심각해져만 가는 상황이 이를 방증한다. 최근 대리운전 사업주와 일부 대리기사들은 카카오 드라이버의 출범에 반대, 대리운전상생협의회를 출범시켰다. ‘대자본’의 시장침탈을 저지하겠다는 게 이들의 논리다.

만약 카카오가 대기업 집단으로 지정될 경우, O2O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기존 시장 이해관계자들의 반발과 저항이 보다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혁신적인 사업 전략도 중요하지만 기존 산업 생태계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융합할 수 있는 대응전략이 시급해보인다.

베스트 클릭

  1. 1 70대 친모 성폭행한 아들…유원지서 외조카 성폭행 시도도
  2. 2 야산에 묻은 돈가방, 3억 와르르…'ATM 털이범' 9일 만에 잡은 비결[베테랑]
  3. 3 홍콩배우 서소강 식도암 별세…장례 중 30세 연하 아내도 사망
  4. 4 오마카세 먹고 수입차 끌더니…'욜로' 하던 청년들 변했다
  5. 5 '학폭 피해' 곽튜브, 이나은 옹호 발언 논란…"깊이 생각 못해" 결국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