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노벨상 수상자, 이민자가 더 많아요"

머니투데이 뉴욕·보스턴·산타페(미국)=김상희 기자, 김평화 기자 | 2016.02.15 03:34

['60조' 이민경제, 新성장지도 그린다]<7>-②미국 혁신기업들의 글로벌 인재전쟁

편집자주 | 우리나라가 정부 정책에 따라 2018년부터 이민자를 적극 받아들인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등 갈수록 심각해지는 인구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이민자) 수는 200만명 시대를 앞두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약 4%다. 이는 GDP(국내총생산)로 환산했을 때 60조원(2015년 GDP 1600조원 기준)에 달한다. 이민자들은 이제 대한민국 경제에 없어선 안 될 구성원이다. 머니투데이는 '2016년 신년기획'을 통해 우리 사회 이민자들의 현실을 짚어보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어떤 이민정책이 필요한지 진단해본다.

"New York City is an International City!"(뉴욕은 국제적인 도시입니다.)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이미지 인식 및 딥러닝(Deep learning) 업체 '클라리파이(clarifai)'에서 만난 매트 제일러 대표 겸 설립자는 "외국에서 온 직원이 얼마나 되느냐"는 머니투데이 특별취재팀의 질문에 의아한(?) 답변을 내놨다.

지구상에서 가장 글로벌한 국가인 미국, 그 중에서도 세계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뉴욕에선 국적과 인종을 따로 구분해 외국인 직원 비중을 물어보는 것 자체가 의미 없다는 뜻이었다. 오랜 이민 역사와 이민자들의 성공 신화를 통해 기회의 땅으로 자리 잡은 미국을 설명하는 데엔 이 한 문장이면 충분하다는 것. 미국은 이민자들로부터 새로운 성장의 추진력을 얻고, 이민자들은 미국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는 선순환이 계속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IT업체 클라리파이. 세계 각 국에서 온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사진= 정진우 기자

◇이노베이션과 글로벌라이제이션 비결, '다양성'= 미국은 애플과 구글, 페이스북, 테슬라, 우버 등 글로벌 기업들이 살아 움직이는 혁신의 요람이다. 스타트업부터 시작해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가 가장 잘 발달한 나라다.

빅데이터, IoE(만물인터넷), AI(인공지능) 등 앞으로 글로벌 시장을 이끌 차세대 성장 동력 분야에서도 제2의 애플, 구글을 꿈꾸는 전 세계 도전자들이 끊임없이 미국으로 향하고 있다. 이처럼 혁신의 비결은 '인종의 다양성'이다.

취재팀이 이날 만난 제일러 대표는 캐나다인 출신이었다. 이 밖에도 중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 온 직원이 전체 직원의 25%에 이른다. 그는 "여러 국가에서 온 직원들이 모여 일하는 것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성이고 여기서부터 혁신이 시작된다"며 "서로 다른 환경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킨다"고 말했다.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 기업 '디지털오션(Digitalocean)'에도 전체 200여명의 직원 중 호주, 캐나다 등에서 온 이민자가 20%를 차지했다. 칼 알로마 최고운영책임자(COO) 역시 영국 출신의 이민자다.

알로마 COO는 "직원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능력만 따진다"며 "최고의 인재를 찾을 때 한 국가, 한 지역에만 국한하면 재능있는 인재 역시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러시아나 호주 등 다른 나라에서 온 직원들은 그들의 문화에서 다양성을 가져온다"며 "다른 배경, 다른 교육, 다른 사회적 경험이 함께 섞이면서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으로 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오션은 다양성 확보를 위해 직원을 뽑을 때 '경험(experience)', '기술(technology)', '문화(culture)' 등 세 가지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채용 인터뷰에서도 이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을 묻는다. 채용 후엔 여러 나라 출신 직원들이 뉴욕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온보딩 프로그램(신입사원이 회사에 적응하도록 돕는 과정)'을 운영한다. 회사 업무와 함께 미국의 문화적인 부분을 이해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디지털오션. 세계 여러나라 출신 직원들이 함께 일하고 있다/사진= 정진우 기자

◇글로벌시장 현지화 해법도 '다양성'= 지난달 23일 방문한 미국 매사추세츠주 버링턴에 있는 '뉘앙스 커뮤니케이션즈(이하 뉘앙스)'는 애플 스마트폰 아이폰의 음성인식 시스템 '시리'를 개발한 회사다. 현재 미국 100대 기업이 사용하는 음성소프트웨어의 70%를 공급한다.


뉘앙스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40개 이상의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음성인식 기능 '에스보이스(S-voice)'에도 뉘앙스의 기술이 들어간다. 이 회사는 외국 기업과 비즈니스가 중요한 만큼 외국인 채용에도 공을 들인다. 현지화 전략이다.

회사 이름이기도 한 '뉘앙스'는 언어별로 미묘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도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갖기도 하고, 한 가지를 설명하는 단어가 여러 개인 경우도 있다. 단순 통·번역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는 얘기다. 이를 극복하는 것은 엄청난 양의 빅데이터와 함께 언어 간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현지 인력이다.

레베카 파큇 뉘앙스 커뮤니케이션 담당 디렉터는 "2008년엔 한국 지사도 설립해 한국인도 채용했다"며 "한국 등 각 국가에서 채용한 인력들은 현지 고객들의 요구에 맞춰 뉘앙스의 기술을 현지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말했다.
산타페인스티튜트 연구원들이 자유롭게 토의하는 모습/사진= 김평화

◇"한국, 다양성 키워야..."=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엔 '복잡계(Complex System)'를 연구하는 세계적인 연구기관 산타페연구소가 있다. 변화하는 세상, 복잡한 현상 속에서 규칙성을 찾는 게 이 연구소의 목적이다.

산타페연구소는 대학이나 전통적인 연구소와는 차이가 있다. 정교수라는 개념 없이 다양한 분야의 많은 학자들이 모여 함께 연구한다. 여러 나라 출신의 학자들이 다양한 생각과 연구를 활발하게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융합학문의 중심지인 산타페연구소에서 구성원들의 출신지나 인종은 전혀 문제 되지 않았다. 한국 출신인 윤혜진 박사는 "한국은 단일 민족이기 때문에 '그것'하면 서로 알아듣는 것이 있는데, 일정한 배경지식을 서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런 이유로 한국 안에선 기술발전이 빠르지만, 다양성이 매우 적어 세계적으로 쓸 수 있는 기술이 잘 나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에서 노벨상 받은 사람들을 보면 이민자의 비중이 더 높다"며 "외국에서 들어온 다양성이 사회를 이끌고, 나아가 본인이 갖고 있는 걸 전파해야 하는데 한국은 그런 게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윤 박사는 특히 "인벤션(발명)을 이노베이션(혁신)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선 다양한 생각들이 모여야 한다"며 한국 사회가 이민정책 등을 통해 지금보다 더 다양성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나훈아 '김정은 돼지' 발언에 악플 900개…전여옥 "틀린 말 있나요?"
  2. 2 남편·친모 눈 바늘로 찌르고 죽인 사이코패스…24년만 얼굴 공개
  3. 3 "예비신부, 이복 동생"…'먹튀 의혹' 유재환, 성희롱 폭로까지?
  4. 4 동창에 2억 뜯은 20대, 피해자 모친 숨져…"최악" 판사도 질타했다
  5. 5 "욕하고 때리고, 다른 여자까지…" 프로야구 선수 폭로글 또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