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서거]정부 "통합과 화합 따라 장례위원 2222명 구성"

머니투데이 김민중 기자 | 2015.11.24 16:50

(종합)DJ 장례위원 2375명과 비슷한 수준, 행자부 "유족 의견 100% 반영했다"…26일 국회서 영결식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 장례위원회가 2222명으로 구성됐다. 장례위원 규모는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국장 영결식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행정자치부는 2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국가장에서 김 전 대통령의 유훈이었던 '통합과 화합'에 따라 장례위원 2222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장례위원회에는 상도동계(YS계)와 동교동계(DJ계)를 아우르는 인사들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대통령의 유훈이었던 '통합과 화합'을 반영했다. 또 정부 추천인사 800여명과 유족 측이 추천한 민추협(민주화추진협의회) 인사, 친인척과 동교동계·상도동계 등을 통합해 김 전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의 지인들이 상당수 추가됐다.

장례위원회는 현직 주요인사로 구성하되 유가족이 추천한 인사를 반영해 구성된다. 각계 대표는 과거 관례를 감안해 대표성 있게 구성하고 부위원장, 고문은 그에 상응한 직위의 인사로 선정하는게 원칙이다.

이와 함께 행자부는 관행에 따라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 등의 주요 인사를 선정한 뒤 유족 측의 요청 인사를 추가로 포함시켰다고 장례위원 선정 과정을 설명했다. 행자부는 특히 "유족 의견을 100% 반영했다"고 강조했다. 장례위원 2222명 중 정부 추천은 808명, 유족 추천은 1414명이다.

장례위원장은 황교안 국무총리며, 부위원장은 정갑윤·이석현 국회부의장, 이정미 헌법재판소 수석재판관, 황찬현 감사원장, 홍준표 경상남도지사와 유족 측 추천인사로 김봉조 전 국회의원 등 6명으로 구성됐다. 관례적으로 출신지역의 광역단체장이 부위원장에 포함된다.

고문은 5부 요인과 정당대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전두환·노태우·이명박 등 전직대통령, 4부 요인, 국무위원, 국회의원 등 101명이 이름을 올렸다.


집행위원장에는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집행위원은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강신명 경찰청장이 이름을 올렸다.

장례위원 2108명은 △입법부(원내대표·상임위원장·국회의원) 248명 △사법부 30명 △선관위 및 민주평통 29명 △행정부 장·차관(급) 126명 △대통령 소속 위원회 등 19명 △군 장성 8명 △지방자치단체장(시·도지사, 동작구청장, 거제시장 등) 18명 △ 대학총장 196명 △경제·언론·방송·종교계 등 각계 대표 87명 △기타 주요인사 1347명 등이다.

김 전 대통령의 국가장 영결식은 오는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 앞마당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다만 영결식의 진행 순서와 노제 또는 추모제를 진행할지 여부 및 절차 등은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행자부는 "유족 측과 협의 중이며 오는 25일 구체적인 방침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혜영 행자부 의정관은 "장례위원 선정 과정에서 형 집행자나 재판 진행중인 분들은 제외됐다"며 "한편 영결식 때 김수환 전 국회의장이 추도사를 맡고 4대 종교의식의 경우 이번에는 기독교, 불교, 천주교, 원불교 순서대로 식이 진행된다"고 말했다.

한편 과거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때 장례위원은 1404명,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때는 2375명이었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