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시정연설 비판 "정신분열" "그 나물의 그 밥"

머니투데이 김승미 기자 | 2015.10.28 10:27

[the300]주승용 "朴 대통령 독특화법 정신 분열 느껴" 오영식 "그나물의 그 밥"

새정치민주연합 주승용 최고위원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10.28/사진 =뉴스1

새정치민주연합은 전날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내년도 시정 연설에 대해 "깜깜이 시정 연설", "3년째 그 나물의 그밥" "정신분열"이라고 맹비판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연설은 국정 전반에 대한 이해와 해법이 보이지 않은 깜깜이 시정 연설"이라며 "국민들이 3년째 대동소이한 시정연설을 들었다"고 지적했다.

행사 일정으로 불참한 문재인 대표를 대신해 회의를 주재한 주 최고위원은 "대통령이 내놓은 해법은 초지일관 변함이 없고, 민생 실종의 책임은 국회와 야당에 있는 것처럼 해괴한 논리를 펼치고 있다"며 "진정성이 없는 정치 선동을 듣는 것 같았고, 국민과 국회가 기대하는 소통은 없고 독설만 넘쳤다"고 지적했다.

주 최고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독특한 화법 연설을 듣다보면 정신분열증상까지 느끼게 된다"며 "대한민국의 정체성이란 개념을 박근혜 대통령처럼 써도 되는지 의구심이 들때가 많다"고 비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전날 장외 집회에 대해 "시정연설을 하러온 박근혜 대통령에게 국민의 목소리를 전달했고, 광화문 반대 결의를 통해서 국민과 함께 국정화 반대 의지를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제왕적 불통령의 아집과 독선을 좌절시킬 국민의 의지를 보여줬다"고 했다.

이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은 민생을 외면한 채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겠다는 고집만 되풀이했다"면서 "국정화는 '최고 존엄' 사업임을 못 박았다"고도 지적했다.

이 원내대표는 "어제 시정연설은 금이 간 술잔으로 술을 마시는 느낌이었다. 흘러내리는 건 술이 아니라 민심"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식 긍정사관으로 무엇을 가르치겠다는 건지 짐작이 간다"고 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우회적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 연설을 비판했다. 정 최고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역사에 길이 남을 연설을 했다"며 "박수 횟수로 보면 40초마다 56차례 박수를 쳤다. 알고보니 대부분 친박의 유도 박수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 최고위원은 "김무성 대표는 건성건성 박수를 쳤다"며 "일부 언론 지적에 따르면 양손 손바닥이 닿지 않는 매우 무성의한 박수를 쳤다고 한다. 새누리당의 '최고존엄'에 대한 박수 치고 매우 무성의한 박수여서 여권 2인자 자리도 쫓겨나지 않을까 심히 걱정된다"고 꼬집었다.

전병헌 최고위원도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 연설 3년 국회 개근은 평가할만 하지만 내용과 메시지가 낙제점"이라며 "현실 인식이 국민과 동떨어진 도그마 연설이고, 말은 시정이었지만 일방적 지시 연설이었다"고 했다.

전 최고위원도 "새누리당이 시도 때도 없이 박수를 쳐대며 과잉 충성의 정수를 보여줬다"며 "오히려 시도때도 없는 과잉 충성 박수가 대통령의 흐름을 방해해서 불충을 저지르는 엉뚱한 결과를 보여줬고, 박수의 의미를 실종시키고 박수를 모욕했다"고 비꼬았다.

오영식 최고위원도 "시정연설은 그 나물의 그밥을 3년째 먹는 느낌"이라며 "국민들이 먹고 살기에 힘들다는데 시정 연설은 대통령 본인의 입맛에 맞춘 맛없고 영양가 없는 밥상"이라고 혹평했다. 유승희 최고위원도 "뒤끝 작렬인 시정연설이었다"며 "시정 연설도 국정 교과서 논리와 마찬가지로 있지 않는 사실로 '국회 뒤짚어 씌우기'였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얼굴 알려진 배우"…성폭행 후 속옷 차림으로 빌던 선생님의 정체
  2. 2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