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 ROA 세계 최저…수익성 제고 절실"

머니투데이 대담=지영한 금융부장, 정리=권다희 기자  | 2015.10.05 07:30

[머투초대석]"금융경쟁력 위해 창투·자본시장과 선순환·네거티브 시스템 필요"

"국내 은행의 총자산이익률(ROA)은 0.3~0.4%대로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모기지 대출금리만해도 기준금리가 '제로'인 미국이 3%대 후반인데 기준금리가 1.5%인 한국은 2%대로 오히려 더 낮습니다. 국내은행에서 이자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만 그 이자수익이 다른 나라 대비 적정수준이냐는 따져 봐야 합니다."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은 2일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수익성 제고가 은행권에 매우 중대한 과제임을 강조했다. 비(非)이자부문 확대나 해외진출도 필요하지만 이자이익의 적정성도 들여다 봐야 한다는 진단이다. 취임 1년을 앞두고 있는 하영구 회장으로부터 국내 은행권의 과제와 연합회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맡을 수 있는 역할을 들었다.

2015.10.02 하영구 전국은행연합회장 인터뷰
-국내 은행권 수익성이 낮은 이유로 대출 이자율을 지목하셨다. 유독 국내 예대마진이 낮은 원인을 꼽자면.
▶일반적으로 낮은 이자수익의 원인으로 규제와 과당경쟁이 지적된다. 이 중 과당경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중 하나는 최고경영자(CEO)의 임기가 짧아 자산규모처럼 단기에 가시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성과를 추구하게 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현재 은행 성장엔진이 별로 없어서다. 파이는 늘어나지 않았는데 은행 수익 창출원이 자산운용 쪽으로 옮겨가지도 못한 상황이다. 과당경쟁은 수익성 저하 뿐 아니라 은행 건전성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어 자제돼야 한다.

-은행 수익성 제고를 위해 주목받는 부문이 비(非)이자이익 확대인데.
▶우리나라와 금융환경이 유사한 일본은행의 비이자이익 비중이 30%인데 우리는 10%에 불과하다. 비이자이익을 늘리려면 결국 새로운 수수료 수익원을 창출해야 한다. 이 수익원을 만들 수 있는 분야가 외환파생상품, 자산관리, 자본시장이다. 최근 연합회에 자금시장부를 신설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향후 은행 전략에 이 분야가 중요해질 걸로 봤기 때문이다. 현재 가계자산의 75%를 차지하는 부동산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금융자산 비중이 늘어나면 자산관리 수요가 커지며 수수료 수익원이 늘어날 여지도 커진다. 은행권은 여기에 맞게 자산관리 역량을 키워야 한다.

-수익성 제고를 위한 방편으로 주목받는 또 다른 축이 해외진출이다. 국내 은행 해외 진출의 바람직한 방향은.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금융사들도 해외 진출 전략을 바꾸는 추세다. 국가마다 다른 규제 등 해외진출 비용 탓에 네트워크를 여러 국가로 확장하기보단 진출 국가 수를 줄여 집중 공략하는 것이다. 국내 은행들도 신흥국 중 향후 성장가능성 있는 국가를 집중 공략하는 게 낫다. 또 금융업 중 가장 라이선스를 얻기 힘든 은행업 대신 여전업으로 진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각 은행이 우리나라에서 가지고 있는 핵심경쟁력을 특화해서 차별화해서 진출하는 게 맞다고 본다. 지금까지는 모든 은행이 해당 국가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기업금융 시장을 노리고 진출하다 보니 블루오션을 우리 스스로 레드오션으로 만들었다.

-금융당국 수장들이 바뀌며 금융사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금융사에 자율권을 부여하고 스스로 책임지도록 하는 방향의 금융개혁이 어느 때보다 강하게 추진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하루 아침에 모든게 될 수 없다. 올바른 방향으로 더 빨리 개혁이 진행되려면 금융시장 플레이어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금융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또 하나는 핀테크(금융+기술)가 화두로 떠오른 만큼 진행된 디지털화와 글로벌 시대에 맞는 방식의 규제가 필요하다.

-핀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일각에선 정책적 육성으로 만들어지는 핀테크가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름을 핀테크로 붙이지 않았을 뿐이지 결제 시장에서 핀테크는 이미 진행돼 왔다. 다만 규제 때문에 미국에서 페이팔 같은 기업이 크는 동안 우리는 그렇지 못했다. 은행의 전반적인 노하우를 다른 부문과 접목하는 융복합도 필연적인 방향이다. 핀테크 부문에 대한 규제가 해소되면, 그걸 따라 잡는 속도 또한 빨라지면서 전자상거래·전자금융·전자결제에서 결실이 맺힐 것이다. 다만 은행 조직문화 자체가 IT기업 등 이종업종과 자체적으로 새로운 걸 접목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인 만큼 이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경제포럼(WEF)이 한국의 '금융시장 성숙도'를 87위로 발표하면서 논란이 됐다. 한국 금융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부분은.
▶WEF 결과는 순위를 산출하는 방식이나 대출의 용이성·가격 적정성 등 세부항목 지표를 볼 때 공신력이 떨어지고 받아들이기 어렵다. 다만 금융이 선진국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은행 이외 창업투자와 자본시장이 강화 돼 창투-은행-자본시장으로 연결되는 금융의 전체적인 선순환이 구축돼야 한다. 또 금융선진국의 공통점이 영미법 체계하 네거티브 시스템(명문으로 금지된 사항 외에 나머지는 원칙적으로 허용 하는 방식)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궁극적으로는 네거티브 시스템이 도입돼야만 금융 경쟁력이 생겨날 수 있다고 본다.

-최근 금융권 CEO들이 연봉을 삭감하는 등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지만 은행권도 고용을 둘러싼 '세대갈등'에서 자유롭지 못한데.
▶금융위기 이후 대형화를 추구하던 금융의 추세가 전 세계적으로 3S(small, strong, simple)로 옮겨 가고 있다. 특히 디지털화로 지점 거래 의존도가 10%에 불과할 정도로 급격히 축소됐다.이런 구조적인 업황 변화로 은행이 필요로 하는 인력의 전문성이 바뀌고 유휴 인력도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런 맥락에서 효율성 제고와 일자리 창출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가 숙제다. 결국 일자리를 나누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 일반적인 부문에선 상대적으로 급여 수준을 낮추더라도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드는 쪽으로 가야 한다. 일례로 은행에서 휴가를 모두 소진해 여기서 발생하는 재원으로 고용을 늘리는 방안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연합회가 방점을 둘 방향은.
▶정책 방향·추진상황에 대한 정책당국과 사원은행간 소통을 원활히 이끄는 건 계속 중요한 숙제다. 쌍방 소통 위해선 은행과 금융당국 양쪽이 다 중요한데 마침 금융위원장·금융감독원장이 모두 소통에 대한 의지가 있는 분들이다. 특히 정회원인 시중은행 뿐 아니라 준회원인 국내 외국은행 지점들의 목소리를 듣는데도 귀를 기울이려 하고 있다. 국내에서 사업하는 외국 금융사들의 의견을 듣고 당국에 전달하는 건 국내 금융경쟁력 향상에도 중요하다. 또 은행 해외 진출에 중요한 게 인력이다. 은행 해외 사업 인력을 키우기 위해 금융연수원과 공조를 추진 중이다. 아울러 은행이 스스로 리스크나 컴플라이언스를 책임지는 방향으로 가는 만큼 이 분야의 전문 인력도 양성될 필요가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의정부 하수관서 발견된 '알몸 시신'…응급실서 실종된 남성이었다
  2. 2 "건드리면 고소"…잡동사니로 주차 자리맡은 얌체 입주민
  3. 3 "나이키·아디다스 말고…" 펀러닝족 늘자 매출 대박 난 브랜드
  4. 4 [단독]음주운전 걸린 평검사, 2주 뒤 또 적발…총장 "금주령" 칼 뺐다
  5. 5 22kg 뺀 '팜유즈' 이장우, 다이어트 비법은…"뚱보균 없애는 데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