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원 입찰' LGU+, 병사 수신용 공용휴대폰 선정

머니투데이 박소연 기자 | 2015.09.03 11:12

[the300]"북 위협시 병사들 전역연기 감동" 휴대폰 4만4686대와 3년치 통신요금 141억원 무상 제공

지난해 추석 연휴 첫 날인 9월6일 경기도 파주군 육군 25사단 용바위대대 이병생활관에서 한 병사가 계급별로 시범 지급된 수신전용 2세대(2G) 휴대전화를 이용해 가족들에게 추석 안부를 전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군 복부 중인 자녀에게 부모가 직접 전화할 수 있는 '병사 수신용 공용 휴대폰' 사업 참여업체로 LGU+가 최종 선정됐다.

국방부는 3일 "사업 참여업체로 이동통신 3사인 KT, SKT, LGU+가 모두 참여해 어제(9월2일) LGU+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LGU+는 전날 사업자 결정을 위한 입찰에서 '1원'을 써냈다. 군이 발주하는 사업에 참여한 민간 기업이 '1원' 입찰서를 써낸 것은 처음이다.

KT는 17억원, SKT는 21억원을 각각 입찰가로 적었다. 당초 국방부는 사업비로 3년간 36억원을 책정했었다.

LGU+는 최근 북한 목함지뢰 도발과 포격상황 등 국가 위기상황에서 병사들이 자진해 전역을 연기한 것에 감명받아 병사들을 위한 수신용 휴대폰을 무상으로 제공키로 결정했다고 국방부가 전했다.


또한 LGU+는 국방부가 최종 목표로 하고 있는 4만4686대(전군 병영생활관 당 1대) 휴대폰과 통화품질 향상을 위한 중계기 설치, 유지보수 등 3년간 통신요금 약 141억원을 무상으로 제공키로 했다.

앞서 국방부는 올해 말까지 병영 생활관에 병사 수신용 공용 휴대폰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군 당국은 우선적으로 전방 및 격오지부대에 1만1364대를 보급하고 단계적으로 전군에 확대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병사 수신용 공용 휴대폰이 보급되면 부모와 병사간 다양한 소통채널이 마련돼 부모들의 불안감이 해소되고 병사들의 군 복무 여건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기대했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