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아직도 모르는 것 같다"…유승민 '사과' 불구 불쾌감 여전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 2015.06.26 17:11

[the 300]"대통령 발언 잘 봐라" 여권 대수술 필요…출발점은 유승민 거취

여야가 합의로 통과시킨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가운데 25일 청와대 주변이 안개로 가득하다.2015.6.25/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당이 아직도 대통령의 뜻을 잘 모르는 것 같다"

청와대는 26일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진심으로 죄송하다. 마음을 푸시고 마음을 열어주길 기대한다"며 공개 사과한 데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불쾌한 기색이 엿보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일단 지켜보자"고 말하면서도 "대통령의 어제 발언을 다시 한 번 잘 들여다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야당은 물론 여당까지 싸잡아 맹비난했고, 특히 "정치는 국민들의 민의를 대신하는 것이고, 국민들의 대변자이지, 자기의 정치철학과 정치적 논리에 이용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유 원내대표를 정조준했다.

여당 원내대표가 주요 국정과제의 입법화에 도움이 되기보다 지위를 이용해 자기 정치를 하려 한다는 것이었다. 사실상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한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었다. 청와대도 부인하지 않았다. 여당 내에서 국회법 개정안을 밀어 붙인 것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거였다.

박 대통령은 여당 일부 의원들을 정치적이나 도덕적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들로 규정했다.
자신이 제일 싫어하는 "배신"이라는 말도 언급했다. 청와대 또 다른 관계자는 "이런 사람들과 어떻게 함께 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여기에는 유 원내대표도 포함된다는 투였다.

유 원내대표가 의총에서 재신임을 받으며 "당청 관계를 복원시킬 수 있는 길을 찾겠다"고 했지만, 청와대는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유 원내대표가 취임하며 당청 관계 개선 노력을 언급했지만, 결과는 국회법 개정안으로 돌아왔다는 거다. 이미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의 신뢰가 회복불능의 상태로 빠져들었고, 사과 역시 진정성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던진 메시지는 간단하다. 여권을 대수술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여권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것으로 그 출발점은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의미다. 유 원내대표의 사퇴만이 당·청관계 복원의 유일한 해법이라는 게 박 대통령의 생각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은 그러나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직후 의원총회를 열어 '거부권' 부분만 수용하고 유 원내대표를 유임시키기로 사실상 결론을 내렸다. 의총 결과에 대해 박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보도도 나왔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유 원내대표의 유임에 대해 묻는 질문에 청와대 관계자는 "정말 심각성을 모르는 것 같다. 유임이 맞냐"고 되물었다. 친박계 의원들이 "머리 한 번 숙인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유임 여부는 여전히 진행형"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의총 결과를 사실상 인정할 수 없다는 거다.

하지만 청와대는 공개적으로 유 원내대표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지 않다. 다만 "메시지는 명확히 전달됐으니 일단 지켜보자. 주말은 넘겨야 하지 않겠냐"는 말에선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게 순리라는 분위기가 읽혔다.

결국 유 원내대표가 자진사퇴하지 않으면 당청 갈등이 어디까지 번질지 모르는 상황이 펼쳐질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친박계는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집단적으로 당무를 거부하거나 사퇴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곧 현 지도부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 원내대표에게 상당한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탈당'이라는 배수의 진을 칠 수도 있다는 관측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탈당은 너무 나간 얘기"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