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끝이 아니다"…新바이러스 잇단 출현 우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 2015.06.08 05:00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 한반도 아열대화로 '열대성 풍토병' 유입 환경 조성

새로 유행하는 전염병 지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가 한반도 기후의 아열대화 등의 원인으로 메르스와 같은 고병원성 신종 바이러스 전염병이 계속 출몰할 수 있다고 7일 경고했다.

또 관련 질병의 조기진단 및 백신·치료제 등이 개발되지 않아 실효성 있는 대응책이 현재 없는 실정이라며, 정부의 전염병 관련 R&D(연구·개발) 예산 확대와 지속적인 투자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는 신종질병 바이러스(제1분과, 32명), 슈퍼박테리아(제2분과, 27명), 신규기전 항바이러스제·항생제(제3분과, 28명), 진단키트 및 장비개발(제4분과, 30명) 등 산·학·연·관 전문가 117명이 모여 지난해 말 출범했다. 국내외 신종 질병 동향을 분석해 실현 가능한 전염병 대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기획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융합클러스터의 최근 분석 자료에 따르면 △매개질환 해외유입 가능성 증대 △아열대화로 인한 열대성 질병 확산 △다양한 변이에 의한 신종 출현 △모기 개체 수 증가 및 서식지 확산 등으로 ‘웨스트나일열’, ‘치쿤쿠니아열’, ‘댕기출혈열’ 등 열대성 희귀 풍토병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메르스 감염자·사망자 수가 전 세계 3위에 오를 정도로 걷잡을 수 없었던 데는 미숙한 초동대응과 함께 △인구 노령화와 만성질환자로 인한 기회감염(2차감염) 증가 △신도시 개발 등 인구밀집으로 전염 가능성 증가 △미생물 적응력 증가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게 융합클러스터의 분석이다. 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것.


무엇보다 전염병 감염자가 매해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 외래 신종 전염병 대응능력은 매우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융합클러스터 관계자는 “보건·의료 R&D(연구·개발) 예산이 ‘경제성·유행성’ 논리에 발목이 잡혀 지연되거나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식의 ‘고무줄 편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백신 개발에 드는 막대한 비용에 비해 수익성이 낮다 보니 정부의 R&D 투자가 소극적으로 이뤄졌던 것. 실제로 질병관리본부의 ‘신종 전염병 대응체계 강화 사업’ 관련 예산은 2007년 153억원에서 올해 34억원으로 대폭 삭감됐다. 정부의 지난해 전체 보건의료 R&D 예산은 5981억원으로, 이 중 전염병 관련 예산은 286억원(4.7%)이었다.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NIAID)의 지난해 R&D 예산(약 5조원)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이밖에 전염성 높은 바이러스를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차폐시설(Biological safety level·BSL) 4 등급 시설이 없어 임상 연구 자체가 힘든 점도 문제다. 위험도 최상위 등급인 에볼라 바이러스 등을 연구하고 다루려면 BSL 4등급 시설을 갖춰야 한다.

신종질병대응기술 융합클러스터단장인 김범태 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세계화·도시화·인구노령화 등의 사회 변화가 전염병 확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더 많은 신종 전염병 창궐이 예상되는 만큼 산·학·연·관 전문가가 모두 나서서 기술력·인프라·지식정보 등을 모두 공유하고, 대응 기술을 개발·보급하는 데 힘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
  4. 4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5. 5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