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육해공 무인기' 도약 시동… 2025년 매출 15조 목표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 2015.05.29 10:20

제2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엔지니어링 고부가가치화' 전략도 제시

무인기 비전 및 정책목표
정부가 무인이동체 및 엔지니어링 산업을 적극 육성하는 밑그림을 내놓았다.

자율주행차, 드론(Drone, 무인비행장치), 무인자율잠수정 등 무인이동체는 시장 초입에 들어선 '소형드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유망 분야인 '농업·해양건설 무인기' 등의 독자기술력을 확보하는 한편, 자율주행 10대 핵심부품을 국산화한다. 엔지니어링은 프로젝트관리, 개념·기본설계 등 주로 고부가가치 영역에 기술자립화를 추진하기 위한 R&D(연구·개발) 전방위 지원 및 투자가 이뤄진다.

29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자문위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산업성장 전략'과 '엔지니어링 산업 기술경쟁력 제고방안'을 보고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무인이동체는 2025년까지 세계시장점유율 10%, 관련기업 650개 육성, 매출 15조원 달성하고, 엔지니어링은 2017년까지 세계시장점유율 3.0%, 고급전문인력 1000명,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술전문기업 100개를 육성하는 목표를 세웠다.

무인이동체 시장전망
무인이동체 시장은 현 251억 달러 수준으로 오는 2025년에는 1537억 달러의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20%에 달하는 성장세다.

이에 '소형드론' 전문업체 경쟁력을 조기 확보하기 위해 부품선도기업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역량을 결집, 2~3년내 미국·유럽 등 선진국 수준을 넘어선 기술력을 확보하고, 공공서비스 및 군 수요 등을 활용한 초기시장 창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2년, 세계 2번째로 개발됐으나 시장진출이 지연되고 있는 '고속 수직이착륙 무인기'(틸트로터) 등 '민·군 겸용 선도 무인기' 실용화도 추진한다.

레이더, 통신모듈 등 수입의존도가 높은 자율주행자동차 10대 핵심부품 국산화를 위해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오는 2025년까지 글로벌 100대 부품기업 7개를 육성한다.
무인이동체 구분 및 시장분류

8억 1000만원을 투자해 개발한 '무인제초기' 개발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하고, 내년 농가에 시범보급한다. 야지·험지 자율주행기술, 원격실재감 기술 등 군 기술을 무인 농기계에 확대 적용하는 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내년부터 2020년까지 △소구획 정밀농업 시스템 △제초, 파종, 수확 등 다목적 자율주행 작업 플랫폼 △센서를 통해 들녘 정보를 수집·분석해 농약 및 비료 등을 알아서 투입하는 자율항법·센서시스템 등도 개발한다.


현재 100% 해외임대에 의존 중인 해양구조물 수중건설용 무인체는 오는 2021년까지 독자 기술로 개발·양산해 연 1500억원의 시장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미래 선도 기술력 확보를 위해 △센서 공통 원천기술, 자세안정화 정밀부품 등 공통 요소부품 △통신, 네트워크 보안, 항법 등 SW플랫폼 및 안전운용 인프라 기술 △테러 등 역기능 예방기술을 개발한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 허가제를 마련하는 등 시험운행 규제개선을 시행해 나갈 방침이다.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시범도로 테스트베드', 실도로·시가지 상황을 반영한 '실험도시(K-City)' 등도 구축한다. 또 안전운용을 위해 차량간, 차량-인프라간 통신 전용주파수를 확보하고, 차량 충돌 제어용 주파수를 추가 공급한다.

정부는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무인이동체 발전 협의회'를 신설하는 등 이번에 보고한 전략을 구체화해 내년 상반기까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2016~2020년)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번 자문회의에선 엔지니어링 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는 기술경쟁력 제고 방안도 논의됐다.

건설·토목·플랜트 등의 엔지니어링 산업은 핵심 기술력이 취약한 탓에 우리가 그동안 수주한 해외 프로젝트 중 고부가가치 영역은 주로 해외 선진업체가 독점하고, 국내업체는 수익성이 낮은 시공영역에 집중돼 있는 구조였다.

스마트엔지니어링센터 운영체계
이에 미래부는 R&D(연구·개발) 과제 재조정으로 기술간 연계성을 강화한 정부주도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또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적 문제해결과 해외시장 수주 지원을 위해 '스마트엔지니어링센터'를 운영한다. 아울러 국내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및 다자개발은행(MDB) 사업을 통한 수주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이어 글로벌 경쟁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낙후된 입찰제도·불공정 관행 개선을 위해 '범정부 엔지니어링 제도개선 TF팀'을 구축하고, 기업수요 맞춤의 통합형 정보제공과 컨설팅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주관하는 '엔지니어링통합정보시스템'을 개설·운영한다.

베스트 클릭

  1. 1 조국 "이재명과 연태고량주 마셨다"…고가 술 논란에 직접 해명
  2. 2 "싸게 내놔도 찬밥신세" 빌라 집주인들 곡소리…전세비율 '역대 최저'
  3. 3 한국은 2000만원인데…"네? 400만원이요?" 폭풍성장한 중국 로봇산업[차이나는 중국]
  4. 4 "거긴 아무도 안 사는데요?"…방치한 시골 주택 탓에 2억 '세금폭탄'[TheTax]
  5. 5 남친이 머리채 잡고 때리자…"너도 아파봐" 흉기로 반격한 여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