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꿎은 업체만 피해…정부, 방사능 기준 마련 등 대응 필요

머니투데이 신아름 기자 | 2015.05.29 06:00

<기획>'방사능 시멘트' 논란, 허와 실-하

편집자주 | 국내 시멘트업계가 일본산 석탄재를 수입해 원료로 사용한다는 이유로 '방사능 논란'에 휩싸였다. 정확한 현황 파악이나 근거 없이 난무 하는 주장 속에 시멘트업체들은 경제적 논리만을 앞세우는 기업들로 낙인찍혔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머니투데이가 시멘트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전문가들의 진단도 들어봤다. 그 과정을 2회에 걸쳐 게재한다.

B레미콘 업체에서 측정한 레미콘 방사선량
#경기 남부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를 진행 중인 A건설사는 올 초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입주 예정자들이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일본산 석탄재를 쓴 시멘트로 만든 레미콘을 쓰지 말라고 요구해서다.

과연 입주 예정자들의 주장은 사실일까. 지난 19일 이들이 방사능 오염 가능성을 제기한 B레미콘 업체를 찾아 현장에서 레미콘을 직접 채취해 방사선량을 측정해봤다. 시멘트에 골재(모래와 자갈), 물 등을 넣으면 레미콘이 된다.

휴대용 측정기로 해당 레미콘의 방사선량을 3회 측정, 평균값을 내보니 0.2마이크로시버트(μSv/h) 이하가 나왔다. 자연방사선량인 0.05~0.3마이크로시버트 범위 내에 있는 수치다.

B레미콘업체 소장은 "정부가 인정한 시험방법과 기준에 따라 검사한 결과 방사능 시멘트, 방사능 레미콘이 아닌 것으로 증명됐지만 입주예정자들이 대화자체를 거부하고 막무가내식 민원을 제기하고 있어 속수무책"이라며 "당장 납품이 정지돼 매출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B레미콘업체의 석탄재(플라이애쉬) 투입구 방사선량 측정치

전문가들은 방사능에 대한 국민의 우려는 과도하다고 지적한다. 과학적 근거 없이 과장된 추측성 의견을 맹신한 결과라는 것이다.

조승연 연세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성 물질은 공기보다 가벼워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는 특성상 땅 속에 묻혀있는 석탄에 영향을 줄 수 없다"며 "단적으로 말하면 후쿠시마 사고로 인한 방사성 물질이 일본산 석탄재에 묻었을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방사능 시멘트가 아토피같은 피부 질환 등을 유발한다는 일각의 주장도 근거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동일 명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시멘트가 물과 만나 강한 알칼리성을 띨 때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아닌 이상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지 않는다"며 "아직까지 시멘트가 아토피 등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고되거나 연구된 결과는 없다"고 말했다.


각종 근거자료와 전문가 진단에도 국민들이 여전히 불안해하는 이유는 일본에 대한 태생적 반감과 원전사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때문으로 분석된다. 방사성 물질의 실제 함유 여부와 상관없이 국민 정서상 일본산 석탄재라서 꺼리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여기에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터지며 기름을 부었다. 일본에서 보조금까지 주며 한국에 팔정도라니 그 석탄재에 진짜로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 시멘트 업체들이 일본에서 석탄재를 수입해온 건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이전부터다.

사실 일본산 석탄재의 수입은 전량을 국산으로 조달할 수 없어서다. 이는 국내 발전소들과 일본 발전소들간 입장차가 존재한다. 국내 발전소들은 비싼 운송료에 대한 부담 등으로 석탄재의 재활용보다 매립을 선호한다. 반면 매립 비용이 너무 비싼 일본에서는 발전소들이 운송료 등 보조금을 대주더라도 석탄재를 파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그렇다고 국내 시멘트업체들이 국산 석탄재를 아예 배제하는 것도 아니다.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연간(2012년 기준) 발생하는 석탄재 905만톤 중 62%가 시멘트 원료와 레미콘 혼합재 등으로 재활용된다. 특히 지난해 12월, 시멘트업계와 발전업체들이 국내 석탄재 재활용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국산 석탄재의 자원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시멘트를 비롯한 관련 업체들의 피해가 이어지고, 국민 불안도 가중되면서 정부가 방사선 물질에 대한 확실하고 선제적인 기준을 마련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원전사고, 핵폭발 등 인공적인 핵반응으로 발생하는 인공방사능에 대한 기준이 현재로선 전무한 실정"이라며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업계 스스로의 노력과 더불어 정부 차원의 발 빠르고 확실한 대처가 뒷받침돼야한다"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