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줄이고 대학우체국 빼고…" 우본 '고강도 슬림화'

머니투데이 성연광 기자 | 2015.04.14 10:35

(종합)공무원 정원수 1천명 ↓·전국 우체국 임대·개방…'조직 슬림화·수익구조 전환'으로 '위기 타개'

"정원수 줄이고, 노후 국사 재개발, 전국 우체국 외부 임대"

우정사업본부의 고강도 조직 혁신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1월 노후 지점 재개발·전국 우체국 자원 외부 개방을 골자로 경영혁신 방안을 내놨던 우정사업본부가 이번에는 공무원 정원수를 대폭 줄이기로 했다. 실적 위기상황을 맞아 대대적인 몸집 줄이기에 나선 것.

우정사업본부와 행정자치부는 14일 1023명의 공무원 정원을 축소하는 것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인위적 인력 구조조정 대신 신규 채용을 줄이는 방식이다. 지난해 우정사업본부 명예퇴직 제도를 단행하면서 2200여명의 우정사업본부 공무원들이 무더기로 퇴직했다. 이렇게 나온 빈자리를 채우는 대신 정원 수 자체를 줄이기로 한 것. 이에따라 우정사업본부의 공무원 정원수는 3만1425만명에서 3만402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이번에 발표된 조직개편안에 따라 우정사업본부는 우정 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지원 분야를 통폐합하고,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대학 내 우체국은 없애기로 했다. 또 단순 우편분류 업무는 자동화하는 한편, 부서간 중복기능을 통폐합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현장 서비스 인력과 신규 사업 수행 인력은 327명 보강한다. 이를 통해 우정사업본부는 연간 451억원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는 기대다.
·

우정사업본부는 이에 앞서 올초부터 전국 168개 우체국 지점의 유휴공간을 커피전문점 등 소상공인들에게 대폭 개방하는 경영혁신안을 마련, 추진 중이다. 마포, 영동, 여의도우체국은 임대 국사로 자체 개발되고, 용산, 성남, 양천, 해운대해수욕장 등 도심지 주요 노후국사는 민간 참여방식으로 비즈니스 빌딩 혹은 호텔로 개발된다. 수익 확보 차원에서 알뜰폰 판매는 물론 전국 우체국 창구와 집배원 등을 활용한 휴대폰 액세서리 혹은 여행상품 등 부가상품 판매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우정사업본부의 이같은 고강도 경영혁신은 디지털 시대 전환이 가속화되고 저금리 기조 장기화 등에 따른 실적 위기 타개책으로 풀이된다.

이메일 등 대체 서비스 확산으로 2002년 55억통에 달했던 우편 물량이 작년 말 43억여통으로 22%나 줄었다. 우편사업부문에서 최근 3년간 연속 적자상태다. 저금리 기조로 금리연계 자산 수익률이 줄면서 금융사업 수지 흑자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2012년 6364억원이던 금융 부문 흑자는 지난해 3280억원으로 반토막 났다.

기존 수익 구조를 탈피하지 않으면 미국 우정청 사례처럼 국가재정을 통한 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돼왔다.

김준호 우정사업본부장은 “재원 부족으로 추진이 어려웠던 우체국 제휴·협력 사업을 활성화시켜 재정 건전성을 높이고, 노후된 우체국 건물을 리모델링해 저렴하게 임대함으로써 중소업체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정준영은 어둠의 자식"…과거 절친 인터뷰 재조명
  2. 2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3. 3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4. 4 괴로워하는 BTS 진…'기습뽀뽀' 팬, 결국 성추행 고발 당했다
  5. 5 BTS 진에 '뽀뽀' 시도한 비매너 팬…"엄연한 성추행" 아미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