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잊자'는 세상에 "잊지 말자"고 외치다

머니투데이 안산(경기)=박소연 기자, 이원광 기자 | 2015.04.14 06:30

[세월호 1주기]안산 곳곳엔 상흔이 남아…"아직 잊을 때 아냐" 망각 저항 움직임

세월호 1주기를 사흘 앞둔 13일 오전 경기도 안산 시내에 벚꽃이 흩날리고 있다. /사진=박소연 기자
지난해 이맘때도 이랬을까. 13일 안산은 슬픔을 잊은 듯 푸른 하늘과 흐드러진 벚꽃 눈발이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이것이,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나라? 또, 저런 죽음을?'
'그대들을 망각 속에 묻지 않겠습니다. 진실 위에 그대들의 이름을 새기겠습니다.'

황홀한 벚꽃길을 따라 걸으면 작지만 강한 '노란 현수막'이 줄지어 나타났다. 단원고 희생 학생 부모들이 손수 새긴 글은 어느 문구보다 준엄하다.

세월호 1주기를 사흘 앞둔 안산은 '이젠 잊자'는 세상에 "잊지 말자"고 온몸으로 외치고 있었다. 1년 전 줄을 잇던 전국적 조문행렬과 통곡 소리, 취재 열기는 사라졌다. 그러나 여전히 합동분향소에는 향이 피워지고 있으며 단원고 2학년 교실은 지난해 4월16일에 멈춰있으며, 희생자 수백 명의 부모와 형제자매, 친구들, '팽목항'의 상흔을 품은 자원봉사자들과 공무원들이 숨죽이며 아픔을 삭이고 있다.

13일 안산 거리 곳곳에 설치된 노란 현수막은 세월호의 기억을 소환하고 있었다. 이 현수막은 희생자 학생 부모가 직접 작성한 문구로 제작됐다. /사진=박소연 기자
안산은 세월호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지역이지만, 동시에 가장 많은 봉사자를 파견한 곳이기도 하다. 지난 1년간 안산 시민 2만5000여명이 진도 등에서 자원봉사자를 펼쳤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은 여전히 참사의 기억과 싸우고 있다.

"보름쯤 버텨보려다 힘들더라고요. 트라우마센터를 찾아갔죠. 진료 의뢰서만 끊어 주길래 지정된 병원 정신과 가서 치료받았어요. 가족들은 입원치료가 가능한데 우린 안 된대서 보름쯤 통원치료하고 말았죠. 지금도 양쪽 귀가 자꾸 울려요. 세상이 기가 막히다는… 멘붕이랄까? 잠을 못 자겠더라고. 악몽에 시달리고. 떠난 지 5개월인데 안 가셔요."

지난해 4월16일부터 7개월간 진도 팽목항을 지켰던 김건주 안산시자원봉사센터 활동지원팀장은 진도를 떠난 지 다섯 달이 넘었지만 여전히 진도를 떠나지 못했다. 실종자 9명 가족들과는 이틀에 한 번씩 통화하며 형제처럼 지낸다. 그들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관계를 끊어낼 수 없다.

김 팀장은 "트라우마를 우려해 1주일 이상 장기봉사를 못하게 하는 게 매뉴얼이었지만 매일 타일러도 떠나지 못하는 이들이 꽤 있었다"며 "장기봉사자 중 최소 20명은 아직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팽목항에 주기적으로 내려가고 있고 안산시 공무원 중 병원에 입원한 사람도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지금도 하루 4명이 진도에 파견된다.

13일 오전 안산시청에 노란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박소연 기자
지난해 4월부터 3개월간 진도에서 가족들과 함께하며 '팽목항 왕언니'로 불렸던 신은혜씨(59·여)도 안산에서 봉사를 이어가며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있다.

"집에 와서 처음엔 빗물 떨어지는 소리만 들으면 창문 열고 뛰어내리려고 했어요, 맨발로 뛰어나오고. (팽목항) 가족천막 날아가는 줄 알고… 신경안정제 먹고 한 달을 누워있느라 12kg까지 쪘는데 10월부터 다시 봉사다니며 좀 회복됐죠."


신씨는 '가족들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뭘까' 생각하다 3개월간 틈틈이 손뜨개질로 노란 원피스 304개를 만들어 팽목항 방파제에 걸어놓았다. '힐링' 방법인 셈이다. 신씨는 "요즘도 내 자식이 바다에 빠져 죽는 꿈을 가끔 꾸는데 그럼 꿈에서 숨을 못 쉰다"며 "당사자는 오죽하겠어요?"라고 되물었다.

세월호 1주기를 앞둔 13일 오후 안산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의 교실은 1년 전에 시간이 멈춘 채 주인 잃은 책상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학교측은 생존 학생들이 졸업할 때까지 공간을 보존할 방침이다. /사진=박소연 기자
이들은 지난 1년간 세월호 인양을 통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잊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희생자 가족들 입장에서는 아직 참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치유'가 시작될 수 없었음을 이해한다.

한편 '기억하는 이들' 반대편엔 '잊으려는 이들'이 있다. 공감해서 아픈 이들 주위엔 세월호에 대한 반감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이들이 있다. 최근 정부가 일방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예상 배보상액을 발표하면서 양측의 간극은 더욱 커졌다. 유가족들은 이웃들에게 '자식 팔아 돈 버니까 좋냐', '8억 받아 축하한다'는 말을 듣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지난 2월 '안산시민 1000인 대토론회'에서는 피해, 참사의 도시라는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란 현수막을 정리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아픔을 잊고 경기회복에 나서자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한 안산 시민은 "세월호 얘기만 하면 주변에서 눈치를 줘 옆이 후끈하다"며 "지금 세월호는 안산에서 금기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안산 단원고 근방에 위치한 '416 기억저장소'에는 아이들의 빈 방과 생전의 꿈, 생애사가 전시돼 있다. /사진=박소연 기자
시간이 흘러 '망각'의 목소리가 높아질수록 이에 대한 저항도 거세지고 있다. 시민 2000여명이 힘을 합쳐 단원고 5분 거리에 '416 기억저장소'를 세우고 1년째 돌아오지 않는 '아이들의 방'을 복원해놓았다. 희생된 이들의 꿈과 생애사를 기록하고 함께 기억함으로써 희망을 찾는 프로젝트다.

"고통을 외면했을 때와 직시했을 때 결과는 다릅니다. 일제 36년 치욕, 한국전쟁의 숱한 고통을 우린 어떤 식으로 외면하고 묻었나요? 지금의 고통을 직시하지 못하면 같은 방식의 참극이 벌어집니다. 10년 뒤, 20년 뒤 세월호 참사에 대해 잘했다, 못했다 평가할 기준이 뭘까요? 600명의 엄마아빠, 300명의 형제자매, 75명의 생존자들이 우리들과 함께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까, 이게 기준이 될 것입니다. 엄마아빠가 싸우는 진실과 정의를 외롭게 해서는 안 됩니다…"

안산 화랑유원지 합동분향소엔 조문이 계속되고 있었다. 맨 앞줄 영정사진 속 9명은 아직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분향소 한쪽에 전시된 '하늘로 간 수학여행' 사진전 속 학생들은 기울어지는 세월호에서 마냥 해맑게 웃고 있다. 우린 무엇을 기억하고 잊어야 할까.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