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이반'에 예상 깬 '전격 개편'…이완구 카드 배경은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 2015.01.23 18:14

[the 300]조기 레임덕 지지율 30%도 '위협'… '정책·소통' 보강…김기춘 사퇴 '2차 카드' 대기

layout="responsive" alt="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대위원장과 국무총리에 내정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2015.1.23/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대위원장과 국무총리에 내정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2015.1.23/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2일 발표된 청와대 조직개편과 국무총리 인선은 예상을 넘어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당초 정홍원 총리를 유임시킬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으나, 박근혜 대통령은 후임자로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르면 이번 주내 발표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지만, 청와대 내부에서조차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교체된 한 수석비서관은 일부 기자들과 오찬을 잡고 발표 전 장소까지 예약했다가 취소했다. 자신의 거취에 대해 사전 통지를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이 그 만큼 '민심이반'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방증이다. '정윤회 문건 유출' 파동부터 '13월의 세금 폭탄' 논란까지 잇따른 악재로 국정지지율이 2주 사이 10%포인트나 떨어진 30%(23일 한국갤럽 발표)를 기록했다. 국정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가 없으면 집권 3년 차에 국정 동력을 상실하고 조기 레임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레임덕 마지노선으로 보는 지지율이 30%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와 새누리당의 정당 지지도도 역전됐다. 청와대 내에서 당청관계에서 힘의 균형추가 당으로 기울 수 있다는 위기감도 나왔다.


박 대통령은 "소폭 개각" 방침만 밝혔을 뿐 총리 교체 가능성을 전혀 언급하지 않아 정 총리의 유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여의도발 '이완구 총리설'이 꾸준히 흘러나왔지만, 원내대표 임기를 고려할 때 5월에나 가능할 것이란 해석이 뒤따랐다.

예상을 깨고 이 내정자가 조기등판했다. 그만큼 집권 3년차 국정의 안정화와 성과가 절박했고, 다급했다는 의미다. 이 내정자는 친박계 중진이자 집권 여당의 원내대표로 야권에서도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악화일로의 당청 관계 회복은 물론 정 총리 교체 요구를 수용하면서 야권과의 소통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정치인이라 인사청문회 통과가 수월할 것이란 기대도 섞였다.


'전격 발표'라는 점은 완성되지 않은 안을 내놓은 것에서도 드러났다. 민정·안보·홍보·사회문화 특별보좌관만 내정했을 뿐 정무특보단과 추가 국정과제별 특보 인선은 미뤘다. 2차 개편 및 인사가 뒤따를 것이란 의미다.


인적쇄신의 척도 중 하나로 여겨진 김기춘 비서실장의 거취도 언급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20일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조직 일부 개편 예고와 함께 "심기일전"을 강조했다. 청와대와 내각 개편이 마무리될 때 김 실장 '교체 카드'를 꺼내들며 또 한 차례 일신의 모습을 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발표된 청와대 개편안의 골자는 '정책과 소통 기능'의 보강이고, 이는 정책조정수석실과 특별보좌관단 신설로 구체화 됐다. 집권 3년 차 국정동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끌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국정기획수석실을 정책조정수석실로 개편한 것은 정책 컨트롤타워 부재로 정부 부처와 혼선을 빚는 등 정책집행의 추동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노무현·이명박 정부가 운영했던 정책실을 부활시켜 안종범 경제수석이 겸직케 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이미 비서실장, 국가안보실장, 경호실장 등 3실장 체제에 정책실장까지 더하면 청와대가 너무 비대해진다는 점이 받아들여졌다.

정책수석은 선임수석으로 각 수석실의 정책을 조정하고 조율하게 된다. 현정택 내정자는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으로 대통령 경제수석과 KDI(한국개발연구원) 원장을 역임한 경제 전문가다. 정권 출범부터 함께 했던 유민봉 국정기획수석이 19개월 여만에 물러남에 따라 원년 수석 멤버 중 주철기 외교안보수석만 자리를 지키게 됐다.

박 대통령은 연두 기자회견에서 청와대 조직개편 이유를 "국민과의 소통"으로 꼽았고, 이를 위해 특별보좌관을 신설했다. 이날 내정된 특보는 모두 비정치인으로 해당 분야 전문가다. 정부 정책에 대한 각계의 여론을 취합해 박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추후 발표될 정무특보단에는 전현직 의원 등 중량감있는 정치인 출신이 기용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국정과제별 특보 인선도 추가로 이뤄질 예정이다. 일부 수석 교체에 이어 비서관 진용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최상화 춘추관장은 사의가 수용됐고, 행정관들의 연쇄적인 이동도 예정됐다.

베스트 클릭

  1. 1 산소마스크 내려오고 승객들 코피 쏟고…대만행 대한항공편 긴급 회항
  2. 2 "얼굴 알려진 배우"…성폭행 후 속옷 차림으로 빌던 선생님의 정체
  3. 3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
  4. 4 박세리, 부친 빚 대신 갚느라 힘들었는데…'증여세' 최소 50억 더 내라고?
  5. 5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