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도약'이냐 '침체'냐…기로에 선 저축은행

머니투데이 김상희 기자 | 2014.12.18 16:48
"재무제표는 좋아졌지만 경쟁력을 생각하면 여전히 걱정입니다"

최근 기자들을 만난 최규연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이 연말을 맞아 한 해를 되돌아보는 이야기를 나누던 중 꺼낸 말이다. 올해 업계 상황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들이 개선됐지만, 이는 그 동안의 악재가 해소되면서 나타난 것일 뿐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었다.

분명 저축은행 업계는 여러가지 면에서 눈에 띄게 좋아진 한 해를 보냈다. 올해는 2011년 터진 '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수습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든 한 해였다.

예금보험공사가 부실 저축은행 정리를 위해 도입했던 제도인 '가교저축은행(자산·부채를 이전 받아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저축은행)'은 한때 13개에 달했다가 올해 예주·예나래 저축은행을 끝으로 모두 매각 됐다.

저축은행 사태의 원인이었던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관련 후속 조치도 끝났다.

과거 추가적인 저축은행의 영업정지를 막기 위해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구조조정기금으로 PF대출채권들을 인수했다가 일정 시점이 지난 후 다시 환매하기로 했는데, 이러한 작업이 올해 마무리됐다. 그 동안 저축은행들이 환매 시점에 대비해 쌓아오던 PF대출채권 관련 충당금을 이제는 쌓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저축은행 사태 마무리 분위기는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저축은행 업계의 2014 회계연도 1분기(2014년 7월~9월) 당기순이익은 190억원이었다. 2009 회계연도 2분기 이후 약 5년 만에 이룬 분기단위 흑자 전환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중앙회장이 걱정을 하는 이유는 침체된 업계를 다시 살릴 수 있는 대안들은 없기 때문이다. 중앙회장 뿐 아니라 업계 종사자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부분이다.

그 동안 당국도 저축은행 업계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할부금융, 펀드 등 새로운 사업에 대한 기회를 열어주고, 영업점 설치 기준도 완화하는 등의 노력을 해 왔다. 하지만, 아직은 눈에 띄는 효과가 보이지 않는다.

몰론 저축은행 업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던 요소들은 이제 많이 사라졌다. 남은 과제는 업계가 어떻게 재도약하느냐이다.

2015년을 앞둔 지금, 저축은행 업계는 대표적 서민금융기관으로 자리 잡으며 다시 도약하느냐, 경쟁력을 갖출 답을 찾지 못하고 계속 침체의 길을 걷게될지 갈림길에 서 있다.

베스트 클릭

  1. 1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2. 2 장윤정♥도경완, 3년 만 70억 차익…'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아
  3. 3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
  4. 4 갑자기 '쾅', 피 냄새 진동…"대리기사가 로드킬"
  5. 5 예약 환자만 1900명…"진료 안 해" 분당서울대 교수 4명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