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전당대회 룰 놓고 갈등 고조…당원 비대위 난입도

뉴스1 제공  | 2014.12.15 11:15

선거인단 비율 등 계파간 갈등 첨예…구민주계 일부 당원 '컷오프' 반대하며 회의실 점거

(서울=뉴스1) 박상휘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평당원협의회 당원들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새정치민주연합 대표회의실에서 전당대회 전 당원 투표 등 당내 개혁 등을 주장하며 지도부와의 면담을 촉구하고 있다. 2014.12.15/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의 '룰' 결정을 앞두고 당내 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이다.

내년 2월 선출되는 차기 지도부는 다음 총선에서 공천권을 행사하는 등 막강한 권한을 가진 만큼 계파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서 있는 탓이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체제에서 한 동안 잠잠하던 계파갈등이 전당대회를 앞두고 서서히 수면위로 드러나는 모양새다.

실제로 이날 평당원협의회라는 조직을 구성한 당원 20여 명은 전당원투표제를 요구하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 난입해 피켓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전당대회 룰을 둘러싼 쟁점은 선거인단 구성 비율과 컷오프(예비경선) 방법, 자발적 참여 여론조사 선거인단 포함 여부 등이다.

이 중 가장 핵심 쟁점은 역시나 선거인단 구성 비율이다.

문재인 의원이 대표주자로 나서게 될 친노(친노무현) 진영에서는 다른 후보보다 인지도에서 앞서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만큼 일반당원 및 국민 참여 비율을 높이자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지역위원장을 다수 점하고 있는 정세균계에서는 대의원 비율을 높이자고 주장하고 있으며 비노 진영에서는 권리당원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노 진영이자 앞선 지도부였던 김한길 전 대표가 당원들의 지지로 선출됐던 만큼 비노 진영에서는 권리당원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권리당원이 많은 호남에서 친노에 대한 반감이 깔려있다는 점도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권 주자들을 일정한 수로 압축하는 컷오프도 논란의 대상이다. 앞서 5·4 전당대회에서는 컷오프를 통해 당 대표 후보를 3명으로 압축했으나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이에 대한 불합리성이 제기된다.

이미 전당대회가 소위 '빅3'라 불리는 문재인·정세균·박지원 의원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컷오프 기준을 3명으로 정할 경우 군소 후보들의 입지가 좁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 대표의 경우 컷오프 기준을 4명으로 늘리고, 5명을 뽑는 최고위원은 7~8명 선에서 후보자를 압축하자는 의견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자발적 참여 시민명부 포함 여부와 '정책대의원'의 숫자 조정, 권리당원 지역별 보정 등도 쟁점 사항으로 남아있다.

문제는 이 같은 쟁점이 15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 마지막 전체회의를 앞두고도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전당대회 룰 결정을 놓고 전당대회준비위원들의 표 대결까지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날 평당원협의회 소속 20여 명이 비대위 회의에 난입한 것도 이 같은 갈등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구민주계로 분류되는 이들은 Δ당원 중심주의 당헌 명시화 Δ전당원 1인1표제 시행 및 당원소환제 도입 Δ비대위원 전원 사퇴 Δ강경노선 탈피 중도개혁 노선 변경 등을 주장하며 한 동안 당 대표 회의실을 점거했다.

이들은 "몇 명이 머리를 맞대고 마련한 것이 컷오프냐, 컷오프가 왜 필요한지를 설명하라"며 "당 대표를 뽑는데 국민 여론조사는 왜 필요한가, 평당원들이 뿔이났다. 지도부의 종행무진 행위를 절대 놔두지 않을 것"이라고 항의했다.

이들의 점거 항의로 인해 문희상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원들은 회의실에 들어서지 못했고 비대위 회의도 30여 분간 늦춰졌다.

이들은 결국 문 비대위원장과의 면담을 약속 받고 회의장을 빠져나갔고 비대위 회의도 가까스로 열릴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문 비대위원장은 "오늘 아침 사태에 대해 자유는 존중돼야 하나 책임은 분명히 묻겠다"며 "그래서 당이 규율이 있고 윤리위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