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도로함몰 대비 지하지도, '서울시版' 제작만 9조

머니투데이 박성대 기자 | 2014.09.30 05:36

지난해 서울시 한해 예산에 43%… GPR 운영·스모킹테스트 도입 검토

/그래픽=김지영 디자이너.

지난달 서울 송파구에서 수차례 발생하며 시민들을 불안하게 한 '도로함몰' 대비책으로 제시된 '지하지도' 제작에 약 9조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서울에서만 한정적으로 지질조사를 위해 표면에 구멍을 뚫어 시추, 분석한 비용만 계산한 것이며 전국 단위로 할 경우 천문학적 비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2003년부터 지반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 현재까지 2만9800여건의 시추공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각 시추장소의 지반단면도와 지하수위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일각에선 이 같은 지하공간 정보량 부족을 이유로 도로함몰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자세한 지반정보를 위해 조사시행 범위를 좁혀 추가 시추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울시내 전체 면적은 약 605㎢다. 이중 시가화 비율은 60.5%로 전체 면적 중 약 366㎢에서 도로함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시가화는 용도지역 중 주거지역,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 면적의 합을 의미한다. 현재 시에서 보유한 시추공 데이터 지반정보 조사범위는 1만2200㎡(가로 110.45m×세로 110.45m)당 1개다.

추가 시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측은 선진국 사례를 들어 시추조사 범위를 최대 '가로 20m×세로 20m' 수준으로 좁혀 조사의 정밀성을 높이자는 입장이다. 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는 "지반정보 조사를 제대로 하려면 '가로 20m×세로 20m'에서 '가로 30m×세로 30m' 간격으로 시추해야 한다"며 "기본적으로 땅에 대한 정보 관리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주장대로면 현재 시가 보유한 2만9800건의 시추공 데이터 외에 추가로 88만5000여개의 시추공 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는 시추공비용. 건설업계와 시추업체 등에 따르면 정밀 지반조사를 위해 필요한 비용은 시추깊이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1건당 1000만원 안팎이다.


88만5000개를 추가로 시추해 분석하려면 산술적으로 8조8500억원이 드는 셈이다. 조사범위를 '가로 30m×세로 30m'로 넓혀도 37만6600개의 추가 시추를 위해 3조7660억원의 비용을 들여야 한다.

시 관계자는 "세계 어느 나라를 뒤져봐도 '가로 30m×세로 30m' 수준으로 시추공 데이터를 보유한 곳은 없다"며 "비용상 말도 안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현 서울시가 보유한 데이터 수준으로도 지반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문제없고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부분적으로 시추하면 된다"며 "최소 3조원의 비용이면 차라리 도로함몰의 원인으로 꼽히는 하수관 전면교체에 쓰는 게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현재 지반정보 조사를 위해 지하지도 구축보다 GPR(레이더를 이용한 지반탐사) 운영방법 사례 연구와 스모킹테스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GPR 운영의 경우 기계(최대 4억5000만원) 1대를 도입한 후 용역을 동시에 진행하면 한해 최대 6억원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시는 추산한다.

스모킹테스트의 경우 무해한 연기를 맨홀과 맨홀 사이에 주입해 도로함몰 부분을 찾는 원시적 방법이지만 현재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주로 쓰는 방법이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
  5. 5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