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먹방 리스트…여성들을 사로잡은 '디저트 열풍'

딱TV 앤쯔  | 2014.07.13 09:17

[딱TV]아는 사람들만 아는 소소한 트렌드

편집자주 | '만물박사' 앤쯔 - 모두가 알고 있지만 무심코 스쳐 지나갔던 소소한 트렌드를 얕고 넓게 이야기하는 머글입니다.

한국 여성들을 달콤함에 빠지게 만드는 '디저트 열풍'. 커피에 케이크 한 조각, 동네 구멍가게에서 쉽게 집어들던 아이스크림콘, 그 게 전부가 아니다. 아는 사람들은 아는, 그러나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디저트 열풍'을 소개한다.


홍콩 여행객들의 '먹방 리스트' 최상단에 오르는 '애프터눈 티', 영국의 영향을 받은 홍콩에 남아있는 대표적인 영국식 디저트 문화다. 늦은 오후 홍차와 함께 케이크, 과자 등의 티 푸드를 즐기며 여유를 맛 보는 여유. 그렇다면 한국에서는 어떤 디저트 문화가 있을까.

몇 년째 불경기인 우리나라에서도 디저트에 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소비심리 악화와 경기불황에 외식업계가 전반적으로 힘겨워하고 있는 것과 달리, '디저트'의 인기는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 때문에 외식 업체들도 신메뉴 출시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이 활성화되고, 식사 후 커피 한 잔은 우리에게 일상이 되었다. 일반적인 디저트 시장은 단순한 커피 한 잔, 혹은 케이크 한 조각 정도만 곁들이는 것이 보통이었다. 하지만 다양한 디저트들이 인기를 끌면서 그 수요와 공급, 모두 엄청난 증가세다.

가장 먼저 디저트 열풍에 불을 당긴 것은 요거트 아이스크림과 와플이다. 한 때,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요거트 아이스크림은 그 인기가 반짝하고 사라지는 추세지만, 와플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정통 벨기에 와플에서 시작해 다양한 반죽과 아이스크림, 시럽, 과일 등 여러 가지 토핑이 곁들여지며 발전했다. 요즘에는 커피전문점 치고 와플 메뉴가 없는 곳이 드물 만큼 대중적이 되었다.

바통을 이어받은 것은 빙수다. 여름 한정 메뉴로 빵집에서 주로 접할 수 있었던 빙수는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이 커피 빙수, 녹차 빙수 등 다양한 빙수 메뉴를 늘려가며 자연스레 디저트 문화에 합류했다.

빙수는 앞선 디저트들과 달리 전문 브랜드들이 생겨나 빙수 시장만의 위치를 키워가는 모습을 보였다. 커피 전문점들은 빙수를 여름 한정 디저트로 제시했지만, 빙수 전문점들은 팥이나 떡과 같이 자신들만의 특색을 내세웠다. 시루떡이나 팥죽 등을 메뉴로 내어 놓는 등 사계절 디저트 전문점으로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

최근에는 얼음이 잘 녹지 않는 놋그릇에 빙수를 담거나 직접 팥을 삶아 내어놓는 것이 인기다. 이 외에 프리미엄 빙수로 몇 만 원이 훌쩍 넘는 호텔 신라의 '애플 망고 빙수'도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꼭 먹어봐야 하는 빙수로 통한다.


↑ 호텔 신라의 애플 망고 빙수


활발하게 돌아가는 디저트 시장에서 신흥강자는 아이스크림이다. 사실 아이스크림은 동네 슈퍼마켓에서 쉽게 사 먹을 수 있는 군것질 거리다. 또, 배스킨라빈스 등 오랫동안 터를 잡아온 프랜차이즈도 있어 다른 디저트에 비해 사람들에게 특별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요거트 아이스크림의 반짝인기도 이런 아이스크림의 특징을 반영하는 듯했다.

그런데 작년부터 소프트 아이스크림이 알음알음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커피전문점 폴바셋에서 시작한 진한 우유 맛의 소프트 아이스크림이 사람들의 인기를 끌었다. 한편 벌꿀집을 얹어주는 것으로 인기를 끈 소프트리가 폴바셋과 같은 우유를 쓴다는 것이 알려지기도 했다.



↑ 소프트리의 아이스크림


이 때문에 이 우유 브랜드가 사람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기도 했다. 이 '맛'이 인기를 끌자, 이들보다는 저렴하지만 비슷한 맛을 낸다는 미니스톱의 소프트 아이스크림도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유명세를 탔다.

국내 대기업 중에서는 해태제과가 이탈리아 브랜드인 '빨라쪼 델 프레도'를 인수하며 아이스크림 시장에서 덩치를 키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SPC의 배스킨라빈스와 롯데제과의 나뚜루로 나뉘어 있는 대기업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이탈리아 전통 브랜드까지 인수한 해태제과의 빨라쪼가 어떻게 사람들의 마음을 끌지는 두고 볼 일이다.

한편으로 아이스크림 시장의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최근 아포가토(아이스크림에 에스프레소를 끼얹은 디저트) 판매를 전국 매장으로 늘리기로 한 스타벅스의 결정 또한 이러한 예측을 뒷받침한다.


↑ 스타벅스 아포가토


현재 디저트 시장의 아이스크림 열풍은 생과일을 통째로 얼려 넣은 브릭팝이나 단숨에 액체질소로 얼려 보는 재미까지 있는 아이스크림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여러 소규모 업체들이 자신들만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아이스크림을 선보이고 있다.


↑ 브릭팝(좌)과 마카롱(우)


여기에 큰 열풍까진 아니지만 호떡이나 붕어빵 떡 등을 이용한 한식 디저트 카페도 생겼다. 츄러스나 마카롱 등 하나의 디저트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점 등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앞으로는 또 어떤 디저트가 우리를 달콤하게 해줄지 벌써 기대된다.


☞ 본 기사는 딱TV (www.ddaktv.com) 에 7월 13일 실린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
  2. 2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3. 3 "허웅이 낙태 강요…두 번째 임신은 강제적 성관계 때문" 전 여친 주장
  4. 4 "손흥민 이미지…20억 안부른 게 다행" 손웅정 고소 부모 녹취록 나왔다
  5. 5 강제로 키스마크 남겼다?…피겨 이해인, 성추행 피해자 문자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