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전부터 퇴직 후 수입과 지출에 익숙해지라

머니투데이 권성희 부장 | 2014.05.11 06:01

[줄리아 투자노트]

퇴직을 하면 대부분 투자해놓은 돈을 일정액씩 인출해 써야 한다. 물론 국민연금이 있긴 하지만 국민연금만으로는 생활하기 어려운 퇴직자들이 대다수다. 문제는 자신이 언제 세상을 떠날지 모르니 매년, 혹은 매월 얼마씩 돈을 인출해 쓰는 것이 적당한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미국 금융회사 PNC자산관리가 퇴직자 1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2%가 별다른 계획 없이 '필요할 때마다 돈을 꺼내 쓴다'고 답했다. 또 조사 대상자의 35%는 퇴직 전에 예상했던 만큼 생활비로 쓰고 있다고 답했으나 31%는 아예 퇴직 후 생활비에 대해 예상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PNC자산관리의 투자 이사인 조 제닝스는 "이상적으로 우리가 추천하는 것은 퇴직이 머지 않은 미래에 이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순간 퇴직 후 수입이 얼마나 되고 지출은 얼마가 될지 계산해 퇴직하기 전이라도 그 수입과 지출로 살아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퇴직 후 수입과 지출에 따라 미리 생활해봐야 그 수준이 자신에게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제닝스는 "실제로 퇴직 후 예상 수입과 지출에 맞춰 생활하다 조정할 것이 있으면 퇴직 전에 미리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별 다른 계획 없이 돈을 인출해 쓰다가 나이가 들어 돈이 바닥 나면 그야말로 대책이 없어진다. PNC자산관리의 설문조사에서도 53%가 죽기 전에 돈이 다 떨어질까 걱정하고 있으며 사회보장연금(우리나라의 국민연금)만으로는 생활비를 충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죽기 전에 돈을 다 쓸까 걱정하는 퇴직자들은 평균 금융자산이 22만5000달러였다. 이들은 59%가 대책으로 생활비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고 41%는 예산을 신중하게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투자전문 사이트 마켓워치의 퇴직 전문 칼럼니스트 안드레아 쿰베스는 지출을 줄이고 예산을 세우는 것과 함께 퇴직 후 금융자산에서 어떻게 수입을 만들어낼 것인지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융자산에서 수입을 얻기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자산 배분이다. 채권과 주식은 물론 ELS(주가연계증권) 등 각종 구조화 상품까지 포함해 돈을 어떤 비율로 배분할 것인지 정하는 일이다.


흔히 채권(안전자산)과 주식(위험자산)에 자산을 배분할 때 100에서 자신의 나이를 뺀 만큼 주식에 투자하면 된다다는 재테크 원칙이 있다. 예를들어 60세면 100에서 60을 뺀 40%를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국내 투자자들은 원금보장 성향이 강해 주식이나 주식형펀드, ELS(주가연계증권) 등에 투자하는 비중이 극히 낮아 이 원칙은 국내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

또 퇴직 직전에 모든 자산을 안전자산에 옮겨 놓은 뒤 퇴직 후 매년 조금씩 주식 자산을 늘려 나가는 것이 더 낫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도 있다. 자산이 가장 많은 퇴직 초기에 주가 변동으로 인해 손실을 입으면 손실 규모가 너무 커질 수 있어 오히려 퇴직 초기에 안전자산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금융자산으로 부동산을 구입해 임대소득을 얻는 방법도 검토해볼 수 있다. 다만 부동산은 비싸기 때문에 퇴직을 위해 모아뒀던 자금 대부분을 부동산 하나에 올인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은 리스크다. 부동산에 올인했는데 환경 변화로 임대소득이 줄어든다거나 아예 임대 수요를 찾기가 어려워진다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면 대안이 없어진다.

자산 배분을 할 때 자신의 기대 수익률부터 결정하는 것도 방법이다. 예를들어 연간 6%의 수익을 기대한다면 은행 예금과 채권만으로는 기대수익률 달성이 불가능해 주식과 ELS(주가연계증권) 등 구조화 상품에도 자산을 배분해야 한다. 예금과 채권은 대략적인 수익 예측이 가능하다. 기대 수익률이 있다면 이런 안전자산의 수익률보다 얼마나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지에 따라 위험자산의 편입 비중을 조정할 수 있다.

베스트 클릭

  1. 1 "번개탄 검색"…'선우은숙과 이혼' 유영재, 정신병원 긴급 입원
  2. 2 유영재 정신병원 입원에 선우은숙 '황당'…"법적 절차 그대로 진행"
  3. 3 법원장을 변호사로…조형기, 사체유기에도 '집행유예 감형' 비결
  4. 4 '개저씨' 취급 방시혁 덕에... 민희진 최소 700억 돈방석
  5. 5 "통장 사진 보내라 해서 보냈는데" 첫출근 전에 잘린 직원…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