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선호' 이젠 옛말‥딸 원한다 66%

머니투데이 박창욱 기자 | 2013.12.18 13:00
'남아선호사상'은 이제 옛말이 됐다. 자녀를 1명만 가진다면 딸을 원하는 국민이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남녀 25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8일 발표한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상적인 자녀수가 1명일 때 희망 성별을 딸로 꼽은 응답이 66.2%에 달했다.

2명일 때는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원한다는 이가 94.3%에 달했으며, 3명일 때는 58.4%가 아들 1명과 딸 2명을 원한다고 답했다. 이상적인 자녀수는 평균 2.4명으로 과거 2006년, 2008년 조사 당시와 동일했다. 이는 통계청 발표 지난해 기준 실제 출산율 1.3명과 1.1명이나 차이가 났다.

이상적인 자녀수는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줄었다. 특히 20대의 경우 2008년 평균 2.1명에서 2013년 2명으로 낮아져 향후 출산율의 추가 하락이 우려됐다. 이상적인 자녀 수를 1명 또는 0명으로 응답한 응답자(186명)는 자녀를 적게 낳기 원하는 이유로 ‘자녀 양육 비용과 교육 비용이 많이 들어서’(56.5%)를 가장 먼저 꼽았다. 다음으로 ‘자식보다는 부부(본인)의 삶을 즐기는 것이 더 중요해서’(19.8%), ‘자녀의 장래가 걱정돼서’(6.5%), ‘출산, 양육으로 직장 생활을 포기하고 싶지 않아서’(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에 대해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은 62%였고, ‘꼭 할 필요는 없다’는 응답은 38%였다. 그러나 연령대가 낮을수록 결혼을 꼭 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40대 41.1%, 30대 47.3%, 20대는 50.1%였다. 문체부는 이에 따라 향후 미혼 인구의 증가가 예상되며, 출산율 전망도 어둡다고 분석했다.

배우자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물은 결과, ‘성격’(94.6%)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가정환경’(72.4%), ‘직업’(45.9%), ‘재산’(32.1%), ‘외모’(23.5%) 등이 이었다. 남자의 경우 외모를 직업이나 재산보다 더 중시하는 반면, 여자는 직업이나 재산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노후에 자녀가 부양하는 문제에 대해선 ‘자녀에게 여력이 있으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47.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녀가 부모를 굳이 부양할 필요는 없다’는 32.1%, ‘자녀에게 다소 부담이 되더라도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응답은 20.1%로 각각 집계됐다. 노후 생활에 대해서 누구의 부담이 커야 하는지 순위를 물어본 결과 ‘본인이나 배우자’(70.2%), ‘복지 제도’(23.5%), ‘자녀나 자녀의 가족’(6.4%)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 정도
/자료=문체부

그러나 일반 국민 10명 중 6명은 노후를 대비한 준비를 하지 않고 있었다. 노후 준비 정도에 대해 60세 미만의 경우,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38.5%에 머물렀다. ‘준비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61.5%였다. 60세 이상의 경우 ‘준비되어 있다’는 응답은 39.5%로 약간 더 높았다.

부모님 친척 중에서 더 가깝게 느끼는 친척에 대해 ‘양가 친척과 비슷하게 가깝다’라는 응답이 39.7%로 가장 높았지만, 어머니 쪽 친척과 더 가깝다는 응답(32.1%)이 아버지 쪽 친척과 더 가깝다는 응답(28.2%)보다 3.9%p 높았다. 문체부 관계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어머니 쪽 친척과 더 가깝다는 응답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여 향후 모계가 점점 더 중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월11일부터 11월10일까지 실시됐다.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허용 오차는 ±2.9%p다.

베스트 클릭

  1. 1 "지하철서 지갑 도난" 한국 온 중국인들 당황…CCTV 100대에 찍힌 수법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빵 11개나 담았는데 1만원…"왜 싸요?" 의심했다 단골 된 손님들
  5. 5 한국 연봉이 더 높은데…일 잘하는 베트남인들 "일본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