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나·양승조 파문..與野 다시 일촉즉발(종합)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 2013.12.09 19:25

새누리 "오늘 중 사과" 요구, 양승조·장하나 해임안 제출…김한길 "오늘 입장 표명없다"

민주당 양승조 최고위원과 장하나 의원. 두 의원의 발언으로 가까스로 안정되는 정국은 다시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사진=뉴스1
민주당 장하나 의원의 '대선불복 선언'에 이은 양승조 최고위원의 돌출 발언으로 '4자회담'으로 가까스로 안정을 찾아가던 정국이 급랭하고 있다. 여권은 격앙된 반응 속에 의원 제명안 제출과 함께 대표 사과, 의원 사퇴 등을 요구했고 김한길 대표는 즉각적인 사과를 거부, 정국이 다시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양 최고위원은 9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은 '중정'이란 무기로 공안 통치와 유신 통치를 했지만 자신이 만든 무기에 의해 암살 당하는 비극적 결과를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의 교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할텐데 국정원이라는 무기로 신공안통치와 신유신통치로 박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국민의 경고를 새겨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 의원도 전날 개인 성명을 통해 대선 불복을 공식 선언했다. 장하나 의원은 지난 대선을 총체적 부실 선거로 규정하고, 내년 6월 4일 지방선거에서 대통령 보궐선거를 시행할 것을 주장했다.

두 의원의 이 같이 예기치 못한 돌출 발언이 터져 나오면서 정국은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청와대는 이례적인 수위로 비판했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오늘 양승조 의원이 대통령에 대해서 암살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은 언어살인과 같다. 이것은 국기문란이고 그 자체가 민주주에 대한 도전"이라며 "양 의원의 발언은 대통령에 대해서 위해를 선동 조작하는 무서운 테러라고 본다"고 말했다. 장 의원에 대해서도 "국민이 선거를 통해 뽑은 대통령을 물러나라고 구체적으로 날짜까지 지명하면서 재선거까지 하자고 주장하는 국회의원의 발언이 옳은 발언이냐"며 "국회의원의 말이냐. 도대체 어느 나라 국회의원이냐"며 강력 반발했다.

유일호 새누리당 대변인도 앞서 △오늘 중 김한길 대표의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 및 재방책 발표 △대선불복 발언 용인하고 민주당의 명확한 입장 △배후로 지목받는 문재인 의원의 조속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고, 돱이같은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향후 발생할 사태에는 민주당의 책임돲이라고 경고했다. 당 차원에서도 이날 오후 의원총회와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잇따라 열고 장 의원의 대선불복 선언과 양 최고위원의 박근혜 대통령 저주성 발언에 대해 10일 윤리위에 제명안을 제출키로 했다. 의총이 끝난 직후에는 국회 로텐더홀에서 '민주당 양승조·장하나 의원 의원직 사퇴 및 출당 촉구 규탄대회'를 개최했고, 당 차원에서 국정원 개혁 특위를 연계시키는 방안도 거론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대화를 하자고 해놓고 이런 막말 발언을 쏟아내는 것은 대화를 안하겠다는 뜻"이라며 "지금 4자회담을 통해 어렵게 정국 정상화가 돼 각 상임위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런 막말 발언이 계속되는 가운데 과연 국정원 개혁 특위를 비롯해 의사를 계속 진행시켜야될 지 여부에 대해 의견을 모아달라"고 요청했다.



민주당은 당초 대응을 자제하려 했지만, 새누리당이 규탄대회를 여는 등 전방위 압박에 나서자 발끈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왜 내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눈의 티끌만 보려하는가"라며 "장 의원 발언을 볼모삼아 또 다시 정쟁을 획책하려 한다면 더 큰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양승조 최고위원 발언도 진의는 아랑곳하지 않고 대선불북프레임을 덮어 씌워 정쟁을 유발하는 것은 오늘 시작되는 국정원 개혁특위 마저도 변질시키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아울러 이번 사안을 수습하는데도 고심하고 있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양 최고위원이 오늘 발언에 대해 직접 해명을 할 예정"이라며 "오늘 김한길 대표의 사과 표명은 없고, 내일 긴급최고회의를 열어 대응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사실 그런 발언 가지고 의원직 제명까지 윤리위에 제소해서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국민 눈에 어떻게 비춰질지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