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 결국 백지화"…주민 반응 엇갈려

뉴스1 제공  | 2013.09.05 18:00

참담함 속 실날 같은 희망 "새 사장에 기대"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News1

총 사업비 31조원 규모인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6년여만에 결국 파산을 맞게 된 가운데 5일 용산구 주민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참담한 심정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사업 정상화란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고 용산개발을 반대해온 단체는 신속한 구역지정 해제를 촉구했다.

이날 김찬 서부이촌동 11개 구역 대책협의회 총무는 "용산개발이 좌초됐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며 "코레일이 돈을 납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도 가졌는데…"라며 말 끝을 흐렸다.

이어 "신임 사장이 올 때까지 등기 이전을 미뤄야 한다"며 "새 사장이 용산개발에 대한 사업성을 재검토해 정상화되길 바라는 실낱 같은 희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또 "어제는 협의회 차원에서 회의를 가졌는데 지금으로써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판단 하에 상황을 지켜보기로 했다"며 "결국 종지부를 찍는다면 집단행동을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촌2동에서 16년째 호프집을 운영해온 김희자씨(60·여)는 "사업이 백지화될 분위기라 밖에 나가고 싶은 생각도 안들어 며칠 째 집에 있다"면서도 "100% 희망을 버린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구역지정 해제가 되면 상심한 주민들 중 투신자가 생기는 등 시한폭탄이 터질 것"이라며 "이촌2동이 언론에 자주 나오는 동네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용산개발을 찬성해온 주민들은 지난 2007년 8월부터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한 것에 대해 서울시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반면 용산개발 반대 입장을 고수해온 생종권사수연합은 "주민들 불안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루빨리 구역지정이 해제돼야 한다"며 사업 파산을 환영했다.


김재홍 생종권사수연합 대변인은 "시행사인 드림허브가 사업을 추진할 능력이 안된다는 게 입증이 되면서 주민들이 결과를 반기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드림허브는 자신들이 투자한 돈을 회수하는 방법 중 이촌2동 사유지를 담보로 집단대출을 받으려 했던 부분이 있었는데 이것이 좌절됨으로 인해 주민들은 위험성에서 벗어나게 됐다"고 말했다.

또 "어떤 신임 사장이 오더라도 사업을 정상화시키기는 힘들 것"이라며 "앞으로는 (드림허브처럼) 자금도 없이 사업을 하겠다고 들어와 여기저기 돈을 꿔 사업을 하려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레일이 그동안 토지대금으로 받았던 대금 중 잔금 1조원을 갚고 사업을 청산하면서 용산개발은 6년여만에 첫 삽도 못 뜨고 백지화되는 운명을 맞게 됐다.

다만 코레일이 드림허브로부터 용산철도기지창 부지를 되찾아오는 토지 등기이전을 완료하기까지는 2주 가량 걸리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사업을 재추진할 경우 극적 회생할 가능성도 있다.

<저작권자 뉴스1 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뉴스1 바로가기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4. 4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
  5. 5 "참담하고 부끄러워" 강형욱, 훈련사 복귀 소식…갑질 논란 한 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