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협회, 외식 대기업의 대변인인가..(?)

이성훈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강사(경영학박사) | 2013.02.08 17:03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쟁점과 프랜차이즈 산업인의 자세


동반성장위원회에서 권고한 중소기업 적합 업종에 대기업과 프랜차이즈 중견기업이 다수 포함되었다. 골목상권의 보호와 소상공인들의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력의 방안으로 나온 이번 내용은 상생보다는 갈등을 조장하는 느낌이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시장경제의 원리와 시장 주체의 자율성을 과도하게 통제하고자 하는 느낌이며, 관련 산업의 당사자들은 마치 기업이 당장 망할 것처럼 아연실색하고 있는 형국이다.

거기다 일부 학자들도 사안의 본질은 왜면한 채 어느 일방의 주장에 동조하여 여론몰이를 하고 있어 사회적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이번에 다수의 프랜차이즈 전문기업들이 신규 출점과 가맹점의 확장에 타격을 입은 것은 사실이다.

또한 골목상권과 크게 관계 업는 대기업의 브랜드가 억울하게 누명을 쓴 점 또한 있다. 거기다 유통채널 갈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동네 슈퍼 즉 구멍가게와 편의점의 갈등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형평성과 실효성도 의문이다.

때문에 1호점부터 소상공인으로 출발하여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프랜차이즈 전문기업들의 상실감과 허탈감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이번 조치의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차분히 검토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수가 700만명을 넘어섰다.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서 자영업 창업자의 70%가 창업 후 3년 내에 폐업한다는 조사 보고도 있다.

그만큼 자영업자들의 삶이 피폐해지고 있는 것이다. 고용없는 성장과 청년실업의 증가, 조기퇴직자의 증가 등이 결합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이슈화된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치열한 자영업자들의 생존 경쟁에 대형자본과 마케팅 능력을 앞세운 대기업들이 참여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는 것이다. 빵집, 커피숍, 편의점 등 할 것 없이 돈이 되면 어김없이 대기업 들이 참여하면서 비난의 화살이 정치적으로 확대된 형국이다.

문제는 과연 프랜차이즈 기업을 대상에 포함시켜야 하는 것이 쟁점이다. 프랜차이즈 기업이 중소상공인들의 로망이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의 유통방식인 것은 분명하고 맨손으로 시작해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우수사례도 많이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불공정거래행위로 인한 가맹점의 피해가 날로 증가해왔다는 점이다. 무리한 출점으로 인한 기존 가맹점의 피해와 본사의 과도한 가맹점 쥐어짜기식의 거래 관행으로 프랜차이즈가 사회적 신뢰를 상실한 것 또한 프랜차이즈 산업인들이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조치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프랜차이즈 산업 발전 방안이 나와야 한다.

엇비슷한 아이템과 차별화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 그리고 기존 브랜드와 유사한 업종의 브랜드를 양산하여 신규출점에만 관심을 갖는 프랜차이즈 기업의 방식부터 고쳐져야 할 것이다.

유사한 브랜드의 지속적인 론칭으로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신규 출점과 매장의 확대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기존 가맹점과 일반 자영업자들의 치열 경쟁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구축한 가맹점 인프라의 질적 성장에 힘을 기울임으로써 기존 가맹점과의 상생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프랜차이즈협회 등 관련 단체들도 대다수 중소 프랜차이즈 기업의 올바른 육성과 보호에 관심을 갖는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 프랜차이즈협회는 일부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대변인이 아니다.

프랜차이즈 산업 자체가 소상공인인 가맹점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현재 프랜차이즈협회는 갈등의 첨예한 당사자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프랜차이즈협회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기득권을 보호하는 첨병이 아닌 대다수 자영 가맹점들의 보호와 이익을 대변하는 기관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무분별한 확장 일변도의 사업방식에서 자영 가맹점들을 보호하고 상생 공존하는 가치를 지향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이념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전문가와 학자들 또한 다양한 유통 채널의 갈등을 어느 일방의 입장에서 재단함으로서 갈등을 부추기지 말아야 한다. 특히 프랜차이즈 기업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 흥분할 정도로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프랜차이즈 기업의 입장을 두둔하는 모습은 보기가 좋지 않다.

동반성장위원회의 이번 조치가 분명 문제점과 한계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내면을 보면 자영업자의 생존과 보호라는 고민이 자리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기업의 불공정한 거래와 외형적인 성장위주의 운영방식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견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비젼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역할에 전문가와 학자들의 역할이 있지 않을까.

프랜차이즈는 자영 가맹점을 바탕으로 하고 이들 자영 가맹점들은 골목상권을 놓고 같은 자영 가맹점 및 일반 자영업자들과 경쟁하고 있다.

따라서 프랜차이즈협회와 기업인들은 동반성장위원회의 이번 조치가 기업 생존을 가로막는다는 입장에서 벗어나 기존 자영 가맹점과 일반 자영점의 공존공생을 위해 유사 브랜드의 난립을 자제하고 기존 가맹점 유통 채널의 강화와 보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차별화된 아이템의 개발과 해외시장의 개척 및 유통 채널의 다양화에서 찾아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갈등을 극대화하기 보다는 차분히 관련 당사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새로운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합리적인 자세일 것이다.

더불어 시장경제의 원리와 소비자 권리라는 측면에서 과도한 통제는 오히려 골목상권의 위축과 자영업의 자생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을 동반성장위원회는 고민해야 할 것이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구로구 병원서 건강검진 받던 40대 남성 의식불명
  2. 2 박지윤, 상간소송 와중에 '공구'는 계속…"치가 떨린다" 다음 날
  3. 3 중국 주긴 아깝다…"통일을 왜 해, 세금 더 내기 싫다"던 20대의 시선
  4. 4 [단독] 4대 과기원 학생연구원·포닥 300여명 일자리 증발
  5. 5 "아시아나 마일리지 자동소멸? 전용몰은 다 품절"…쓸 곳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