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해가는 중국, 변해야할 한국

머니투데이 조철희 기자 | 2013.01.01 05:52

[한국경제 좌우할 6대 동인]③중국 리스크

#2018년 시나리오1. 대중(對中) 수출, 전년 대비 30% 급감. 중국 진출 식품업체, 현지화 적응 실패로 대거 철수. 중국서 한국산 제품 불매운동 확산. 한국 기업, 중국 증시 기업공개(IPO) 잇단 실패.

#2018년 시나리오2. 삼성전자, 중국 증시 시가총액 1위. LG전자, 중국 가전시장 점유율 1위. 이랜드, 중국 의류시장 매출 1위. MCM,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명품 브랜드 등극.

중국 경제의 빠른 변화를 가정해 상상해 본 우리 경제의 최악과 최상의 시나리오다. 중국은 투자에서 소비로, 수출에서 내수로 경제 구조의 중심을 옮기고 있다. 우리 경제와 기업들이 앞으로 5년을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하느냐에 따라 미래의 시나리오는 이 두 가지 형태로 갈릴 수 있다.

복잡다단한 전환기에 놓인 중국 경제로 인해 한국 역시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우리 수출 구조의 대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기업들이 중국 진출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변화하는 중국에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는 앞으로 새로운 5년 동안 우리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中, 진통 불가피한 구조 전환 = 중국은 1980년대부터 매년 꾸준히 10% 전후의 고속성장을 해왔다. 그 결과 중국 내부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공급과잉이 일어났고, 고성장 체제를 지속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중국은 양극화 심화와 수출 둔화의 문제를 동시에 겪으며 경제 구조를 바꿀 수밖에 없는 한계선에 와 있다. 이남우 토러스투자증권 영업총괄 대표는 "중국 내에서도 이번에 경제구조 변화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진짜 큰 위기가 올 것이라는 긴장감이 팽배하다"고 전했다. 권구훈 골드만삭스 전무도 "앞으로 5년 안에 중국은 소비 중심으로 변해 있어야 한다"며 "기존처럼 투자 중심에 머물러 있다면 '중국발 위기'(another crisis)가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같은 구조 전환은 극심한 진통이 불가피하다. 기존 시스템의 수혜자들로부터 기득권을 빼앗아 와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반발과 저항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소비는 투자나 수출처럼 재정, 환율 등의 정부 정책으로 쉽게 진작시킬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중국 새 지도부도 구조 전환 중 자칫 경기가 꺼져 사회 불만이 고조될까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부양과 조정·긴축이 동시에 이뤄지는 정책 '믹스'(혼합)를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홍춘욱 전 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는 "구조적 개혁을 미뤄둔 채 당장의 성장률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5~10년 뒤 중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현재 전망인 7~8%가 아닌 5~6%로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中 소비시장, 한국 경제의 돌파구 =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한국의 해외수출 중 중국 비중은 24%로 단일국가 중 가장 높다. 특히 중국 수출액 중 중간재 비중이 54.3%로 절반을 넘는다.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전자부품 등 각종 중간재를 사들여 이를 다시 제3국으로 수출하는 구조다. 따라서 중국의 수출에서 내수 중심으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된다면 중간재 수출 국가인 우리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전병서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향후 3~5년 안에 한국에 수출 불황이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 경제는 중국 수출이 타격을 받으면 주식시장 등에서 추세적으로 큰돈이 빠져나가 경제 전체에 힘이 빠질 수 있다"며 "중국의 소비 전환이 한국 금융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상황 인식에 최근 들어 우리 수출 구조의 개선과 다변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저성장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소비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국이 여전히 우리의 수출 전진기지로 머물 것이 아니라 최종 소비시장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경제정책실장은 "앞으로는 중국 내수 시장에 어떻게 진입하느냐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판도도 달라질 것"이라며 "제조업 수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금융·법률·교육·의료·문화·관광 등 서비스업 수출을 모색해 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은영 KDB산업은행 조사분석부 과장도 "이제는 중국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야 한다"며 "국내 기업들도 현지 진출에 적극 나서고, 정부도 정책적으로 방향을 제시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영재, 선우은숙 친언니 성폭행 직전까지"…증거도 제출
  2. 2 장윤정♥도경완, 3년 만 70억 차익…'나인원한남' 120억에 팔아
  3. 3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
  4. 4 "390만 가구, 평균 109만원 줍니다"…자녀장려금 신청하세요
  5. 5 "6000만원 부족해서 못 가" 한소희, 프랑스 미대 준비는 맞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