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수준평가, "평가등급기준 세밀화 해야.."

머니위크 강동완 기자 | 2012.12.20 17:33
지난 2009년 대통령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수립한 각부처별 프랜차이즈 육성방안중에 현재 중소기업청과 소상공인진흥원의 수준평가외에 나머지는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인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프랜차이즈학회 숭실대 박주영 교수는 지난 14일, ‘2012년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운영위원 및 심사원 워크샵’에서 이같이 소개하고,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제도는 자영업대책에서 출발해, 가계부채 상당부분이 자영업과 관계가 많아 2009년 9월 대통령특별위원회에서 자영업 문제를 해결키 위해 프랜차이즈 육성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박 교수는 "농수산식품부는 한식세계화를 중심으로 프랜차이즈 육성을 하고 있으나, 실제로 프랜차이즈 정책중에는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만 남아있다."것.

이날 박 교수는 “실제 소상공인진흥원이 추진하는 수준평가 제도는 소상공인의 폐업을 막고, 보호하고, 이들의 경영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라며 "가맹점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전제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수준평가 심사원칙과 관련해 박 교수는 "평가체계 개발방향은 가맹점 보호중심의 평가기준이다. 가맹본부가 성과를 많이 내는 항목을 평가하는 것은 가맹본부 성장성과 건장상을 평가해 가맹점을 보호한다."고 말했다.

과학적, 이론적, 경험적 평가체계이다. 이론과 실무가 병행된 평가모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3년동안 운영되는 과정중에서 박 교수는 “현재 수준평가 심사에 대한 일부 문제가 있다.”라며 “현재 148개 항목으로 평가하지만 많지 않는 것이며, 항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프랜차이즈시스템의 건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보게 된다.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가맹점의 성과를 평가하게 된다.

또 수준평가 심사제도 운영과정과 관련해 박 교수는 “심사원에 대한 보수와 대우가 매우 약하다.” 라며 “심사원에 대한 내공을 높여야 한다. 진흥원에서도 프랜차이즈의 예산이 타용도로 바뀌고 있지만, 향후 프랜차이즈 육성을 위해선 이에따른 예산투여가 필요할 것 같다.”고 지적했다.

프랜차이즈 브랜드 평가는 “평가와 측정항목을 구분해서 진행해왔다.”라며 “3년동안 운영해온 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재점검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프랜차이즈 수준평가 서민교 운영위원은 “새로운 아이디어 부분에서 평가기준에 대한 의견과 본사, 재심사, 평가등급 구분, 연계시스템의 평가내용을 구체화하자, 실무가 있는 평가위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라며 “본사가 원하는 연계지원 서비스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이날 워크샵에선 "브랜드의 성장단계에 따른 평가지표가 달라져야 한다는 의견과 현재 평가등급을 1~4등급으로 나누는 것을 더 세분화해서 나눠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일정수 가맹점에 따른 차등화된 지표가 있어야 하며, 매뉴얼이 업체수준에 맞지 않게 작성되는등 지원에 대한 부작용이 거론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