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부촌 지점인데도…현대차 "이럴수가!"

머니투데이 강기택 기자 | 2012.06.28 05:59

고객발길 30% 감소, 올 내수판매 지난해보다 2.1% 감소 전망

고유가, 가계부채 등으로 대표적인 내구소비재인 자동차 업종은 심각한 내수부진을 경험하고 있다.

현대차의 강남 거점인 대치지점. 부촌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지만 차를 구경하러 오는 손님은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지점 직원은 "올해 방문고객이 지난해보다 30% 줄었다"고 말했다..

현대차, 기아차, 르노삼성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이미 올해 내수시장의 판매 목표치를 매우 보수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현대차 산하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는 올해 초부터 자동차 내수판매가 이미 전년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소는 최근엔 국내 자동차 판매가 올해 155만대에 그치며 지난해의 158만대보다 2.1%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상반기 판매가 경기부진 및 신차대기 수요 등으로 4.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하반기는 지난해 4분기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0.3%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로 1-5월 국내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현대차와 기아차의 내수 판매 실적은 부진 그 자체다.

현대차는 올 1월부터 5월까지 국내판매는 26만8402대로 5.6% 줄었고 기아차 역시 같은 기간 국내판매는 4.4% 감소한 19만7027대에 머물렀다.

현대차와 기아차 모두 해외 판매가 각각 17%, 18.3% 늘어나면서 글로벌 판매량이 많아졌지만 내수시장 상황은 딴판인 것이다.

르노삼성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4만3168만대에서 38.3% 급감한 2만6640대로 최악의 한해를 보내고 있다.


반면 한국GM이 경차 스파크가 호조를 보이면서 내수판매가 4.8% 증가했고 쌍용자동차가 코란도스포츠 등으로 1.9% 늘었다.

수입차의 경우 1-5월에 전년 동기대비 21% 판매가 늘었지만 6월 들어 판매량 증가세가 눈에 띠게 둔화되고 있다는 게 수입차 업계 딜러들의 분석이다.

차종별로도 명암이 뚜렷하다. 경차를 제외한 준중형, 중형, 준대형의 판매가 모두 감소했다. 준중형은 29.7%, 중형은 0.2% 판매가 줄었다. 준대형도 26.6% 급감했다.

지난해 아반떼와 그랜저의 신차효과가 사라진 대신 레이 등 새로운 경차 모델이 나오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업계는 당분간 가격대가 가장 저렴한 국산 경차와 상대적으로 고가인 수입차만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 계속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하반기 내수 판매가 전년대비 늘어난다고 해도 지난해 10월 이후 워낙 판매가 저조한 데서 기인하는 것일 뿐 의미 있는 판매량의 증가는 아닐 것이라는 분위기다.

한국자동차연구소 관계자는 “신형 싼타페, 5월 K9의 신차효과 등은 긍정적이나
유가와 물가 부담, 유럽 등 대외경제 불안 등의 부정적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하반기도 낙관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3. 3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김호중, 징역 3년 이상 나올 듯…바로 합의했으면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