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한국계 은행은 왜 1층에 없을까

머니투데이 호찌민(베트남)=정현수 기자 | 2012.06.25 08:24

[2012 금융강국코리아]<6>베트남 소매금융도 주목…신용카드 등 새로운 '먹거리'

편집자주 | 금융에서는 왜 세계 1등이 없을까. 머니투데이는 이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국내 금융사의 해외진출에 초점을 맞춰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 '금융강국코리아'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머니투데이는 금융의 경쟁력을 높여 강한 한국으로 키우자는 '금융강국코리아' 기획을 2003년부터 해왔습니다. 머니투데이는 직접 해외 금융현장을 누비며 현지의 눈으로 보고 방안을 모색하려 합니다. 특히 올해는 금융산업의 핵심인 '인재양성'의 현 주소와 과제를 집중적으로 살피고자 합니다.

↑베트남 호찌민 중심가 다이아몬드플라자에 위치한 기업은행 호찌민지점. 기업은행 호찌민 지점은 이 건물 6층에 자리잡고 있다.
베트남 호찌민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들은 모두 호찌민 중심가 고층빌딩에 자리 잡고 있다. 여기에 다른 공통점이 있다. 모두 빌딩의 고층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한베트남 호찌민센터의 경우 센텍타워 11층, 기업은행 호찌민지점은 다이아몬드플라자 6층에 입점해있다. 우리은행 호찌민지점도 금호아시아나플라자 2층에 있다.

한국에서 대부분의 은행들이 1층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현실적 고민이 만든 결과다.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들은 지금까지 기업금융에 주력했다. 베트남 현지인들의 은행 이용률도 20%에 그친다. 굳이 임대료가 비싼 1층에 자리 잡을 필요가 없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베트남 금융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한국계 은행들도 소매금융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게 신용카드 사업이다. 걸음마 단계인 베트남 카드 사업에 한국계 은행들이 속속 진출하고 있다. 방카슈랑스 등 새로운 먹거리도 검토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5월부터 베트남에서 카드 사업을 시작했다. 국내 1위 카드사업자인 신한카드와 함께 진출했다. 지난해에만 5000장의 카드를 발급했다. 지금까지 누적 카드 발급량은 3만장으로 집계됐다. 올해는 보다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나설 예정이다. 베트남 카드 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한베트남은 '신한 디스카운트존'이라는 것을 열었다. 베트남에 위치한 특정 업종 등을 대상으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식당 등이 대상이다. 지금까지 10곳을 신한 디스카운트존으로 선정했다. 현재 10곳이 추가로 준비 중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카운트존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김휘진 신한베트남 호찌민 부센터장은 "아직까지는 한국인이 선호하는 마켓 위주로 운영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베트남 현지인들도 흡수할 예정"이라며 "우리에게는 일상적인 일이지만 카드로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베트남인들도 상당히 관심을 드러내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도 현지화의 단계로 소매금융에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기업금융에 주력했지만 현지화를 위해서는 소매금융도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그 중심에 카드가 있다. 박봉철 기업은행 호찌민지점장은 "기업은행 고객들을 대상으로 직불카드를 발급하고, 궁극적으로는 신용카드 도입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카슈랑스 시장 역시 한국계 은행들이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분야다. 신한베트남은 올해 안으로 방카슈랑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신한베트남은 현지법인 형태이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 지점 형태인 우리은행 호찌민 지점도 최근 베트남 금융당국과 방카슈랑스 도입을 협의하고 있다.

이 밖에 베트남에 자리 잡지 못한 인터넷뱅킹도 한국계 은행들이 선도하고 있다. 단순히 조회만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송금 기능까지 갖춘 인터넷뱅킹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비교적 덜 보편적인 자동입출금기(ATM) 설치도 확대하고 있다. 소매금융 확산을 위한 조치다.

베트남 호찌민에 근무하고 있는 한 금융인은 "지금까지 베트남에 은행만 내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하지만 최근 베트남 금융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은행별로 새로운 먹거리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베스트 클릭

  1. 1 태국 보트 침몰 순간 "내리세요" 외친 한국인 알고보니…
  2. 2 "아이고 아버지! 이쑤시개 쓰면 안돼요"…치과의사의 경고
  3. 3 경매나온 홍록기 아파트, 낙찰돼도 '0원' 남아…매매가 19억
  4. 4 민희진 "뉴진스, 7년 후 아티스트 되거나 시집 가거나…"
  5. 5 '수상한 안산 주점' 급습하니 PC 14대…우즈벡 여성 주인 정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