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개포지구 이번엔 '미래유산화' 논란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 2012.06.14 05:40

[부동산X파일]박원순 서울시장 " 아파트 1개동 보전 제안받아"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전경. ⓒ머니투데이 포토DB.
 "최근 강남 개포지구 조합장들을 만났는데 이중 한 분이 아파트 1개동 정도는 미래 유산이 될 수 있도록 그대로 남기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7일 격동기 근·현대사의 무대였던 서울의 역사적 현장을 비롯해 인물의 발자취, 생활상 등을 '미래유산화'하는 방안을 브리핑하면서 소개한 내용이다.

박 시장이 구상하는 '미래유산화'는 기존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보호받지 못하는 근·현대 역사문화 유산 등을 우선 보존한 뒤 문화재 지정이나 역사적 평가의 경우 미래세대가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시는 역사적 인물의 생가나 묘지, 베델 등 개화기 외국인 유적, 근대화 경제성장 과정의 구로공단·창신동 봉제공장이나 달동네의 시민생활상, 우리나라 최초의 아파트인 충정·동대문아파트 등을 미래유산 대상으로 꼽았다.

재건축을 추진하는 개포지구 아파트의 경우 도시지역의 주택난 해소를 위해 1980년에 만들어진 택지개발촉진법이 적용된 첫 사례 중 한 곳으로, 경제발전기 서울시민들의 주거환경을 가늠할 수 있는 유산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란 점에서 미래유산화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개포지구 아파트 1개동 존치 제안이 현실화된다면 해당 아파트 동은 재건축 과정에서 붕괴위험이 없도록 개·보수하는 복원작업을 거쳐 근·현대 주거환경 박물관이나 커뮤니티 시설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성북구 성북동의 작가 박경리 가옥은 재개발구역으로 돼 있었지만 유족들이 보존의 필요성을 제기, 구역에서 제외해 존치시켰다.


 일단 개포지구 재건축아파트의 미래유산화는 조합원의 동의만 있다면 추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박 시장이 공식석상에서 언급할 정도로 조합장의 제안을 높이 평가해서다.

 문제는 개포지구가 재건축 문제로 시와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조합원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미래유산화사업이 강제성은 없지만 사유재산권을 규제하는 측면이 있어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형주택비율 확대 요구에 이은 미래유산화 추진은 또다른 재건축 발목잡기로 인식될 가능성 높다는 우려도 나온다. 개포지구 한 조합장은 "땅 한평이 아쉬운 상황에서 아파트 1동 부지를 사실상 기부채납하는 것을 어느 조합원이 찬성하겠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들 동의없이 미래유산화사업을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개포지구는 미래유산 보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그만큼 향상됐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언급한 한 사례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