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00년 후 보물 1000개 찾는다

머니투데이 최석환 기자 | 2012.06.07 11:24

서울시 '근현대 유산의 미래유산화 기본구상' 발표...시민공모 거쳐 '미래유산 1000선' 선정

서울시가 시민들과 함께 100년 후 보물이 될 '미래유산 1000선'을 시민과 함께 찾는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근현대 유산의 미래유산화 기본구상'을 7일 발표했다. 이 구상의 주요 골자는 △시민공모 등을 통한 '서울 속 미래유산 1000선' 선정 △미래유산 보존·관리·활용 마스터플랜 수립 △'미래유산보존위' 구성·운영 △박경리 가옥 등 5곳 시범사업 추진 △'내셔널트러스트 활성화'로 관주도 한계 극복 △미래유산 보호관련 조례 제정과 세금감면 등 제도개선 정부 건의 등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미래유산 프로젝트는 100년 후 보물을 준비하는 것"이라며 "근현대 유산은 현 세대가 미래세대와 공유하고 미래의 창조적 자산으로 전달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 동안 방치돼 왔던 근현대 유산을 시민과 함께 적극 발굴·보존해 2000년 고도 서울의 역사성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시는 우선 내셔널트러스트 관련 단체와 공동으로 '서울 속 미래유산 찾기' 시민공모를 이달부터 8월 중순까지 실시한다. 대상은 20세기 서양문물의 유입시기인 지난 1900년대 이후부터 2000년까지 서울시 관할지역 내에 있는 유적과 유물, 무형 유산이다.

일반시민과 관련단체 등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보존 대상으로 선정된 응모자(100명)에겐 전산 추첨을 통해 문화상품권을 지급한다. 신청은 'WOW서울 홈페이지(wow.seoul.go.kr)'로 하면 된다.

시는 시민공모를 바탕으로 내년 7월까지 '서울 속 미래유산 1000선'을 확정해 마스터플랜에 맞춰 보존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다음달까지 서울시장과 시민위원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미래유산보존위원회(가칭)'를 구성한 뒤 이를 총괄할 ‘미래유산보전센터’를 조직 내에 설치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미래유산 보존·관리·활용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을 시행할 계획이다.


미래유산보존위는 문화예술, 정치역사, 산업노동, 시민생활, 도시관리 등 5개 분과위원회로 운영되며, 이에 맞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50명을 균형 있게 배치할 예정이다. 마스터플랜엔 △보존과 활용의 기본원칙 △보전대상 선정기준 △분류유형의 정립 △대상별 보전 및 활용방향 설정 △연차별 보존계획과 소요예산 산정 △사업추진 로드맵 △유형별·권역별 교육 및 관광자원화 방안 등에 대한 장·단기 실행방안이 담긴다.

시는 또한 시범사업으로 △이준, 손병희 선생 등 순국선열 묘역인 강북 수유동 역사문화유적 분야 △경교장·이화장 등 정부수반 유적 복원 등 건국관련 분야 △남산 옛 중앙정보부 건물 보존 및 활용 등 민주화 분야 △구로공단 역사기념관 조성 등 산업화 분야 △박경리, 김수영, 마해송, 전형필 등 문화예술인 유적 등 5곳을 선정, 5억5000만원을 투입해 보존에 나선다.

아울러 민간단체의 미래유산 보존활동을 활성화하고 민간이 소유하고 있는 미래유산에 대해 보수비나 프로그램 운영비 등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미래유산보존에 관한 조례'를 오는 12월까지 제정한다. 여기에 민간단체가 미래유산 매입시 취득세 등 지방세를 감면받을 수 있도록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에 관한 국민신탁법' 개정도 정부에 건의하고, 미래유산 멸실·훼손을 제한하기 위한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한문철 서울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장은 "보존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보수비, 프로그램 운영비 등을 지원하되, 미래유산의 소유자나 재단, 기념사업회 스스로가 모금, 후원금, 기부 등을 통해 보존 및 활용하도록 해 대규모 재정 소요는 최소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스트 클릭

  1. 1 유명 여성골퍼, 코치와 불륜…"침대 위 뽀뽀 영상도" 아내의 폭로
  2. 2 선우은숙 친언니 앞에서…"유영재, 속옷만 입고 다녔다" 왜?
  3. 3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4. 4 '이혼' 최동석, 박지윤 저격?… "月 카드값 4500, 과소비 아니냐" 의미심장
  5. 5 60살에 관둬도 "먹고 살 걱정 없어요"…10년 더 일하는 일본,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