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가 우리 삶의 질을 높인다"

머니투데이 유현정 기자 | 2012.05.02 08:00

[피플]윤기원 아주산업 기술연구소장

"차갑고 딱딱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며..."
'콘크리트'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이다.
이 '천덕꾸러기' 콘크리트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학자가 있다. 폐자원을 재활용하고, 공기를 정화하며, 빛에 따라 색이 변하기도 하는 콘크리트를 개발해 주목을 받은 윤기원 아주산업 기술연구소장(상무)을 인천 가좌동 아주산업 레미콘 생산공장에서 지난 26일 만났다.

윤 소장은 "콘트리트가 발견된 지 200년이 됐지만 아직까지 획기적인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이제는 콘크리트가 그 자체의 기능과 역할을 넘어설 수 있는 한 단계 진보가 필요하며 그런 아이디어를 개발하는게 자신의 소임이라고 덧붙였다.

윤 소장은 "2000년대 초반 포룸 알데히드와 새집증후군이 사회 문제화 됐을 때 실내 공기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며 "콘크리트가 공기를 맑게 하면 집 안에서 숲 속처럼 숨 쉴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공기정화 콘크리트'다. 콘크리트에 숯과 공기 중 오염성분과 반응해 무해한 성분으로 바꿔주는 촉매제를 넣어보았더니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윤 소장은 최근 철강 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적용해 시멘트 함량을 대폭 낮춘 콘크리트를 선보였다. 시멘트는 온실가스 배출비중이 전체 산업군의 7%나 된다. 시멘트를 덜 쓰는 만큼 온실가스가 줄어드는 셈이다.

윤 소장은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는 처음에는 시멘트 값이 비싸서 (개발을) 시작했다"며 "시멘트 값이 내려간 지금은 오히려 원가가 더 비싸졌지만 내구성, 내염해성 등 특수성능 때문에 개발한다"고 설명했다. 마치 과거에 쌀이 비싸 보리밥을 먹었지만 현재에는 건강 때문에 비싼 보리를 일부러 먹는 것과 비슷하다는 설명이었다.


앞으로는 벽돌, 스티로폼 등 별도의 단열재 없이도 단열 효과를 내는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단열재로 인한 화학성분이 없어지면 친환경 건축도 가능할 뿐 아니라 건설 공정과 비용이 줄어든다.

윤 소장은 "우리는 늘 콘크리트 안에서 숨 쉬고 생활한다"며 "그런 콘크리트가 에너지 손실도 막아주고 공기도 깨끗하게 해 주면 우리 삶의 질이 얼마나 좋아지겠는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콘크리트는 500cc 생수병 부피가 20원일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저렴해서 이 같은 고품질 콘크리트의 도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가장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윤 소장은 2007년 기술연구소장으로 영입된 후 특허 8개를 취득하고 1개는 현재 출원 중에 있다. 1998년 청주 주성대에 국내 최초로 콘크리트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건식재료공학과를 창설한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 전에 콘크리트는 건축, 토목과에서 부수적으로 다뤄지는데 그쳤었다.

윤 소장은 "창의적인 연구 분위기 조성을 위해 연구원들에게 하루 2시간은 무조건 인터넷 서핑을 시키고 전시회 관람도 적극 장려한다"며 "앞으로 콘트리트 분야도 로봇, 화학, IT 등과 융합을 시켜야 경쟁력이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

베스트 클릭

  1. 1 300만원 든 지갑 돌려준 노숙자, 돈벼락 맞았다…"수천만원 돈쭐"
  2. 2 '합의 거절' 손웅정 "손흥민 이미지 값이라며 수억 요구…돈 아깝냐더라"
  3. 3 "물 찼다" 이 말 끝으로…제주 간다던 초5, 완도에서 맞은 비극[뉴스속오늘]
  4. 4 베트남 두리안 싹쓸이 하더니 돌연 "수입 안해"…중국 속내는?
  5. 5 [단독]허웅 전 여친, 이선균 공갈사건 피고인과 같은 업소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