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중동붐'…기회· 위협요인은 무엇?

머니투데이 두바이·아부다비(UAE)=유영호 기자 | 2012.03.16 06:27

중동국가들 민생안정 '올인' 재정지출 확대 기회…고유가 흐름은 '양날의 검'

"제2의 중동 붐이 일면서 우리에게 또다시 기회가 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터키와 중동 3개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와 이같이 강조했다.

'원조 중동 붐'이 일던 1975년부터 1983년까지 9년간 우리나라의 중동 전체 수주액이 614억 달러였던 반면 지난 2010~2011년 2년간 수주액은 770억 달러에 달한다. 중동 붐이 다시 불고 있다'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의 실적이다.

그렇다면 '제2의 중동 붐'을 지탱하는 기회요인은 무엇일까. 가장 큰 기회요인은 중동국가들이 '재스민 혁명'으로 불리는 아랍 정정 불안사태 이후 사회 안정을 위한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중동 국가 대부분은 지난해와 올해 민생안정을 위해 현금 무상지급, 연료·식량 등 생필품 보조, 공공부문 급여 인상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무이자 주택자금 대출에 360억 달러를 지원했으며, 쿠웨이트는 가구당 약 400만 원을 무상지급하기도 했다.

이런 조치는 국민들의 가처분 소득을 늘리는 효과를 가져와 가전, 통신제품, 자동차 등 소비재 수요를 확대, 우리 기업들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민생안정과 직격된 전력시설, 주택, 의료시설 확충에 대한 투자 증가도 한국 건설·플랜트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고 있다.

리비아, 이집트 등의 전후 복구, 재건 사업도 주요한 기회요인이다. 치열한 내전이 벌어졌던 리비아는 석유·가스, 건물·도로 등 인프라 복구 등 재건에 1200억 달러를 쏟아 부을 계획이다. 이집트도 2015년까지 75억 달러 규모의 33개 경기부양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동시에 서민주택 100만호 건설 사업도 시작한다.


다만 시리아, 예멘 등 일부 국가에서 시위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위협요인이다. 당장은 이들 국가의 경제활동 위축으로 파급효과가 제한되고 있지만 자칫 주변 국가로 전이될 경우 '중동 붐' 전반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부터 고공행진을 계속하는 고유가는 '양날의 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금은 중동 산유국들이 재정지출을 확대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설 경우 재정여력이 축소되면서 각종 프로젝트가 취소·지연될 우려가 있다.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국제 금융시장 위축 정도도 주시해야 할 위협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유럽 대형은행이 중동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주요 역할을 맡아왔기 때문이다.

최근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개발 사업을 수주한 시행자가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건설을 마친 후 설비를 일정 기간 운영해 수익을 환수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해도 PF를 통한 재원조달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효과가 없다는 의미다.

베스트 클릭

  1. 1 [단독]구로구 병원서 건강검진 받던 40대 남성 의식불명
  2. 2 박지윤, 상간소송 와중에 '공구'는 계속…"치가 떨린다" 다음 날
  3. 3 중국 주긴 아깝다…"통일을 왜 해, 세금 더 내기 싫다"던 20대의 시선
  4. 4 "살아갈 수 없을 것 같았다" 쯔양 복귀…루머엔 법적대응 예고
  5. 5 "오빠 미안해, 남사친과 잤어" 파혼 통보…손해배상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