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시영도 안 끝났는데"…강동發 전세난 '확산 조짐'

머니투데이 송지유 기자 | 2012.02.02 05:11

주공 4,7단지 1300가구 연내 이주…"대부분 전세보증금 1억원 갈 곳 없어"

↑서울 강동구 고덕동 고덕시영 재건축으로 인한 전세난 여파가 확대될 조짐이 일고 있다. 고덕시영 이주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인근 고덕주공4단지와 7단지 등도 연내 대거 이주가 이뤄질 예정이어서다. 사진은 고덕시영아파트. ⓒ최윤아 기자
서울 강동구 고덕동에 위치한 고덕시영아파트 재건축 이주로 시작된 전세난 파장이 확산될 조짐이 보인다. 고덕시영에 이어 고덕주공4단지와 7단지 등도 연내 이주가 계획돼 있어 전세입자들이 경기 일대로 밀려나는 도미노 현상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현장에선 서민들이 수천만 원씩 급등한 전셋값 때문에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데도 서울시는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국지적 현상이라며 뒷짐을 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재건축 관리처분 등 연내 이주예정 물량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덕시영 이주쇼크가 가시기 전에 관리처분 등 추가 이주수요가 발생해도 현재 이를 조정할 조례가 마련되지 않다는 것도 문제다.

◇고덕지구 재건축 이주 파장 장기화될 듯
2일 현지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고덕시영 2444가구(시영한라 1504가구, 시영현대 940가구) 이주로 불거진 강동발 전세난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공식 이주기간이 오는 6월15일까지인 데다 주변 전셋값이 치솟아 이사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고덕동 G중개업소 관계자는 "매우 낡은 아파트로, 세입자 비율이 80%에 달한다"며 "이주비를 받은 집주인이나 상대적으로 자금여력이 있는 일부 세입자만 새집을 찾아 이사했을 뿐 대부분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고덕시영 전세난이 해소되기도 전에 올 상반기에는 인근 고덕주공4단지(410가구) 이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7∼8월에는 고덕주공7단지(890가구) 이주가 이어질 전망이다.

고덕시영과 4단지, 7단지 등을 합치면 3700여가구가 잇따라 이주에 나서는 셈이다. 이는 지난해 전세난의 진원지가 된 강남구 대치동 일대 재건축·리모델링 물량인 1800가구(청실아파트 1446가구, 우성2차 354가구)보다 2배 많다.


◇1억원으로 어디 가나…강남발 전세난보다 더 심각

고덕시영 전셋값은 4000만∼1억원 안팎으로 서울에서 가장 싼 수준이다. 1984년 준공된 노후단지인 데다 소형으로 이뤄져 인근 연립·다세대보다 전셋값이 낮다.

고덕동 G공인 관계자는 "세입자는 대부분 자녀 학교문제로 고덕동에 남고 싶어 하지만 전셋값을 빼도 주변에선 마땅한 집을 구하기 어렵다"며 "전셋값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물건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웬만한 다세대 전셋값이 1억원을 호가하고 방 2개짜리 반지하 전셋집도 6000만∼7000만원"이라며 "지금은 고덕동보다 전셋값이 싼 고덕동, 상일동 일대로 움직이지만 이주가 본격화되면 하남, 남양주 등 외곽으로 쫓겨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도 강남보다 강동발 전세난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규정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1억원 안팎의 전셋집에 살던 세입자들은 주변 전셋값이 오르면 더이상 갈 곳이 없다"며 "자금력이 약한 서민들이 경기 일대로 밀려나면 전세난이 외곽으로 번질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조례 이제 만들어야죠"…느긋한 서울시
잇따른 재건축 이주쇼크가 예상되는데도 서울시는 느긋하다. "재건축 이주시기를 조절해 전세난을 막겠다"고 공식 발표한 지난해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서울시 주택국 관계자는 "재건축 이주일정 등은 일선 자치구에 확인해야 한다"며 "올해 전체 사업일정을 파악하지 않아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주택시장 상황에 따라 지자체가 재건축 관리처분인가 등 이주시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법안이 지난해 말 통과됐음에도 서울시는 조례조차 마련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선 재건축 이주시기를 조절할 조례가 마련되지 않았다"며 "연내에는 조례 개정과 시행이 이뤄지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5. 5 "못생겼어" 싼타페 변신 실패?…대신 '아빠차' 등극한 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