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국내 바이오藥 시장 2015년 14조 전망"

머니투데이 김명룡 기자 | 2011.12.15 14:47

식약청, 세계 바이오시장은 2013년 116조 전망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국내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 분야가 2015년 14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식약청은 이같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합리적 규제를 통해 국내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돕겠다는 입장이다.

15일 식약청이 내놓은 '2011년도 바이오의약품 주요 성과 및 2012년 전망'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2010년 3조5000억원에서 2015년 14조원으로 연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식약청은 바이오의약품 세계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2008년 69조원에서 2013년 116조원으로 증가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도 큰 폭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식약청은 분석했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007년 8243억원에서 지난해 1조 5064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22.2%를 기록했다. 지난해 국내 의약품 총생산 규모는 16조1000억원으로 2007년 이후 연평균성장률이 8.6%였다.

이에 따라 전체 의약품 생산에서 바이오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7년 6.5%에서 지난해 9.3%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식약청은 이 비중이 2015년에는 17%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

식약청은 바이오의약품이 성장할 것이라는 근거로 바이오의약품이 생물유래물질로 고유의 독성이 낮고, 난치성, 만성질환에 뛰어난 효과를 지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줄기세포, 약물유전체연구를 활용한 치료제, 노인성만성질환용 제품 등 맞춤형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는 평가다.


바이오산업의 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일부 바이오기업의 경우 연구개발 투자에 따른 결실로 제품화 단계에 진입했고 삼성, 한화 등 대기업들이 바이오분야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정부는 생명공학기술(BT) 국가 R&D 집중 지원 확대하고 있으며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바이오분야를 선정했다.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도 급증하고 있다. 국내 회사의 바이오의약품 임상승인 건수는 2007년 52건에서 지난해 91건으로 연평균 증가율 20.5%를 기록했다. 식약청은 현 증가세로 봤을 때 2012년도 국내 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승인 건수는 132건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현재까지 11건의 임상시험이 승인됐으며 이중 2건에 대해 임상3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식약청은 "안전과 합리적 규제를 바탕으로 한 바이오의약품 관리를 통해 향후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 분야가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선점과 선진 규제기관으로써의 위상 제고에 노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자료:식약청
국내 바이오의약품 연도별 생산실적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음주 뺑소니' 후폭풍…끈끈하던 개그 선후배, 막장소송 터졌다
  2. 2 김호중, 뺑소니 피해자와 합의했다…"한달 만에 연락 닿아"
  3. 3 "1.1조에 이자도 줘" 러시아 생떼…"삼성重, 큰 타격 없다" 왜?
  4. 4 '나혼산'서 봤는데…'부자언니' 박세리, 대전 집 경매 넘어갔다
  5. 5 피자·치킨 20인분 배달가니 "안 시켰다"…후불 '음식테러' 한 사람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