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 너마저···서민들 어디서 돈빌릴까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 2011.11.06 16:09

신용등급 7~10등급 대부이용자 220만명...자금수요 몰려 금리오르면 '불법사금융' 우려도

대형 대부업체들이 최고이자율 위반으로 '영업정지'될 경우 신용등급과 소득이 낮은 대부이용자들이 큰 애로를 겪게 될 전망이다. 금융당국도 영업정지 사태에 대비해 서민들의 자금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해 말 현재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거래자수는 220만명에 달한다. 주로 신용등급 7~10등급 고객들로 대출 총액 규모는 7조5000억원 수준이다.

영업정지 위기에 처한 러시앤캐시는 지난 해 말 기준 거래자수가 55만8200명에 이르고 대부잔액도 1조9899억원에 달하는 업계 1위다. 업계 2위인 산와대부의 거래자수와 대부잔액은 각각 44만3400명, 1조1765억원에 달한다.

이들 2곳을 포함해 이번에 적발된 4개 대부업체와 거래하는 대부이용자는 모두 115만6000명, 대부잔액은 3조5677억원이다. 복수 거래자를 감안하더라도 전체 대부업 이용자의 상당수가 이들 4개 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4개 업체 모두가 6개월 영업정지라는 철퇴를 맞으면 저신용, 저소득 서민들이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자금 수요자가 몰리면서 대부 금리가 올라갈 수 있고 불법 사금융이 만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부업계 관계자는 "대형 대부업체의 경우 중소형사나 미등록 대부업체보다 금리가 싸다"며 "러시앤캐시나 산와머니가 일시적으로 문을 닫으면 그 사이 이용자들의 더 높은 금리를 물고 다른 대부업체나 저축은행을 이용하거나 그것도 안 되면 불법 사채를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서민들의 금융 피해를 가장 걱정하고 있다. 금감원은 대부업체 영업정지에 대비해 은행과 서민금융회사들의 서민대출 취급 증대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대부이용자의 자금수요를 흡수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은행 서민대출 상품인 새희망홀씨와 햇살론 등 서민금융 상품을 더욱 활성화하고 대부업계 영업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대부이용자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소득, 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을 이용하지 않도록 상담과 교육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얼굴 알려진 배우"…성폭행 후 속옷 차림으로 빌던 선생님의 정체
  2. 2 김호중 "돈도 없는 XX놈"…건물주 용역과 몸싸움, 3년전 무슨 일
  3. 3 박세리, 부친 빚 대신 갚느라 힘들었는데…'증여세' 최소 50억 더 내라고?
  4. 4 "무섭다" 구하라 사망 전, 비밀계정에 글+버닝썬 핵심 인물에 전화
  5. 5 매년 韓대통령에게 오던 2000통 편지, 한통도 안온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