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정지' 저축銀 앞을 못 떠나는 이들은

머니투데이 김유경 기자 | 2011.09.19 14:41

[현장스케치]"막노동으로 번 돈인데…" "우량하다고 해서 후순위채 투자했는데…"

"저는 시장에서, 남편은 막노동을 해서 번 돈 정말 입지도 않고 먹지도 않고 적금 넣었는데···."

19일 오전 분당선 신흥역 부근에 위치한 토마토저축은행 본점 앞. 영업정지로 굳게 닫힌 문 앞에서 사람들은 떠나지 못했다. 모자를 눌러쓴 한 아주머니가 하소연하듯 자신의 이야기를 쏟아내자 사람들이 몰려들어 귀를 기울였다. 그는 "그나마 5000만원 이하라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라고 가슴을 쓸어내리면서도 불안함을 감추지 못 했다.

설명회장은 다른 곳에 있고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데도 몰려든 사람들의 수는 이렇듯 줄어들지 않았다.

일부는 이미 영업정지된 저축은행 예금자들이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불안한 마음 때문에 자리를 뜨지 못했다. 그저 모르는 사람들끼리라도 삼삼오오 모여 서로의 사정을 이야기하며 불안한 마음을 달래야 했다.

저축은행 한 켠에는 후순위채 투자자들의 모임을 만들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누군가 흰 종이에 "후순위채권 가입자는 보호받기 어려우니 힘을 합쳐서 논의 합시다. 누가 누군지 알수 없으니 전화번화와 이름을 다음에 기재합시다"라고 썼다. 이미 다섯명이 이름을 기재했다.


또 "금융위원회 사람들 나와"라며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매년 두차례씩 운영 잘하고 있는 우량저축은행이라고 속여 후순위채에 투자했다"며 가슴을 치는 사람도 눈에 띄었다.

한편 이재명 성남시장은 이날 오전에만 두차례 토마토저축은행 본점을 찾아와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고 예금이 5000만원 이하라면 크게 걱정할 것 없다며 위로했다.

토마토저축은행의 본점이 시장을 끼고 있는 만큼 고객 중에는 시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나이가 50~60대 이상으로 고령자들이 많아 그만큼 예금자들의 충격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들은 대부분 시장을 끼고 성장해왔다. 제일저축은행은 가락시장을, 토마토저축은행은 성호시장을 비롯한 신흥시장, 활어회시장 등을 끼고 있다.

베스트 클릭

  1. 1 23억 갚으면 '10억 빚' 또…"더는 못 갚아줘" 박세리, 이유 있었다
  2. 2 "밤에 샤워하지 마세요, 아이 깨요"…3개월째 항의하는 아랫집
  3. 3 백종원 협박한 '연돈' 점주들…"1억 주면 조용히 있겠다" 녹취록 공개
  4. 4 '매출 대박' 성인용품점 20대 사장의 고민…"엄마가 울면서 말려"
  5. 5 "팬들 안 보이네" 썰렁…'완전체' 뉴진스 모였는데도 텅 빈 출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