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4% "로또아니면 10억 모으기 불가능"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 2011.06.21 09:35

[2011 당당한 부자]"10억 있어야 부자" 42%…존경안해 62%..나는 부자다' 8.2%

로또가 첫 선을 보인 2000년대 초 전국에는 '로또 열풍'이 불었다. 평범한 사회인들이 10억원 이상 일확천금을 손에 쥘 수 있는 것은 로또뿐이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로또는 부자가 되기 위한 모든 사회인들의 희망이기도 하지만 이룰 가능성도 극히 희박해 거의 고문에 가깝다.

로또 당첨을 통해 벼락부자가 되려는 희망고문은 머니투데이가 창립 12주년 및 오프라인신문 창간 1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당당한 부자 관련 전 국민 여론조사'에 고스란히 드러났다.

특히 부자들의 재산 형성에 대해 부자가 아닌 계층은 '상속 및 증여', '권력 소유' 등에 따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꼽아 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부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평생 부자되기 어렵다는 비중 높아져
자신이 부자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2%만이 '그렇다'고 대답해 부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답변(91.8%)와 큰 격차를 보였다. 부자가 아니라고 답한 비중은 지난해 91.0%보다 0.8%포인트 늘었다.

또 53.7%의 응답자가 자신이 부자가 되는 것은 '평생 불가능하다'는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절반이 상회하는 사람들이 평생을 벌어도 부자가 될 수 없다는 비관론을 내비친 것으로 지난해 51.0%보다 2.7%포인트 증가했다. 이들 계층은 사실상 로또 당첨이 아니고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반면 매해 줄어들던 '10년 이내에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답변은 16.5%로 지난해 14.8%보다 소폭 높아졌다. 10년 이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답한 계층은 주로 20대(25.2%), 30대(28.8%), 학생(25.5%) 등으로 젊은 층일수록 미래에 대해 장밋빛 희망을 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내로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견해(6.5%)와 10년 이내에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견해(16.5%)는 모두 합쳐 23.0%에 불과했다. 나머지 77.0%의 사람들은 부자가 되는 것이 평생 불가능하거나, 20년 이상 걸릴 것으로 봤다.

◆부자들의 재산형성 놓고 부자와 비부자 시각차
부자들의 재산형성 방식에도 부자와 부자가 아닌 계층간 시각차가 존재했다. 부자가 아닌 계층은 부자들이 상속·증여와 권력 소유에 따른 재산 축적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 있는 반면 부자들은 창업/기업경영을 우선순위로 꼽았다.

부자가 아닌 계층이 부자들의 재산형성 방식에 대해 부동산투자(65.1%), 상속 및 증여(41.4%), 권력소유(33.1%), 창업 및 기업 경영(27.0%), 전문가집단의 고소득(12.1%), 주식투자(12.0%) 등의 순이었다.

반면 자신이 부자라고 생각하는 계층은 창업/기업경영(29.8%), 결혼(21.0%), 부동산투자(20.4%), 저축(11.0%) 등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지적했다.


부자가 아닌 계층은 부자들의 경우 자산이 뒷받침돼야 하는 부동산투자와 상속·증여, 권력소유 등을 통해 부를 축적한다는 시각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즉 부와 가난의 대물림이 양극화를 부추기는 원인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극화 가장 큰 이유=연봉과 일자리
응답자들이 '양극화'를 강하게 느끼는 이유는 일자리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액 연봉을 받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 비정규직 및 실직자인 사람들과 임금 격차가 '양극화'를 느끼는 이유인 것으로 풀이됐다.

'양극화 해소와 동반성장(상생)를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는 질문에 응답자의 38.8%가 '일자리 창출 또는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취업기회 확대'라고 답했다.

이 대답은 60세 이상(50.3%) 대구/경북(49.6%) 가정주부(50.6%) 중졸이하(52.6%) 월소득 101~200만원(51.4%)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방에 거주하면서 학력이 낮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 구하기'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19.1%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고 봤고 부유세 강화 등을 통한 세제정책 조정도 14.6%에 달했다. 교육기회 확대 등을 통한 교육격차 해소(12.0%), 대기업 초과이익공유제 등 제도개선(11.4%) 등도 방안에 꼽혔다.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반값 등록금, 초과이익공유제, 부유세 등에 대해 부유하지 못한 계층의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법이나 제도로 동반성장 촉진제도를 강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68.9%가 '부의 정당한 분배를 위해 국가개입과 제도 입법화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제도화에 찬성하는 계층도 20대(74.6%) 광주/전라(74.3%) 학생(75.6%) 월소득 201만~300만원(78.5%) 등으로 기성세대보다는 젊은 층에서 찬성률이 높았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나훈아 '김정은 돼지' 발언에 악플 900개…전여옥 "틀린 말 있나요?"
  2. 2 "욕하고 때리고, 다른 여자까지…" 프로야구 선수 폭로글 또 터졌다
  3. 3 동창에 2억 뜯은 20대, 피해자 모친 숨져…"최악" 판사도 질타했다
  4. 4 "390만 가구, 평균 109만원 줍니다"…오늘부터 자녀장려금 신청
  5. 5 차 빼달라는 여성 폭행한 보디빌더…탄원서 75장 내며 "한 번만 기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