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여가는' 헌인마을 부실PF 해법

조정현 MTN기자 | 2011.04.18 15:54
< 앵커멘트 >
헌인마을 주택사업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 채권에 대한 연장 여부를 놓고 채권단과 삼부토건이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협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부실PF 여파가 건설업계 전반에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정현 기잡니다.




< 리포트 >
낡은 판잣집과 영세한 가구 공장이 들어선 서울 헌인마을.

삼부토건동양건설산업은 지난 2006년, 이곳에 한 가구 당 50억 원짜리 고급빌라를 짓겠다며 PF대출금 4,270억 원에 대해 보증을 섰습니다.

하지만 서울시가 사업 규모를 줄이라고 요구하면서 수익성은 악화됐고, 인허가도 계속 지연됐습니다.

결국 사업부실화 가능성을 우려한 채권단이 대출금 상환을 요구하고 나서자, 삼부토건은 지난 12일 돌연 법정관리를 신청했습니다.

다급해진 채권단이 삼부토건과 신청 철회 여부를 놓고 협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양 측은 추가 담보제공 문제 등을 놓고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녹취]삼부토건 관계자
"50대 50가능성으로 보고 있죠. 대주단이랑 저희 회사측이랑 협의를 할 문제니까요."

이 와중에 지난 15일엔 공동시공사인 동양건설산업까지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사태는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건설업계와 금융권에선 일단 채권단과 두 건설사 간의 협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헌인마을의 사업 규모가 크기 때문에, 채권단에서 어떻게든 양 측의 '법정관리 신청 철회'를 끌어낼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실제로 법원도 충분한 논의를 위해 삼부토건의 법정관리 결정 시한을 오는 25일로 1주일 연기했습니다.

[녹취]동양건설산업 관계자 / 음성변조
"삼부(토건)만 법정관리 체결하고 동양(건설산업)은 안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됐는데, 그건 말이 좀 안 맞는 상황이예요. 한 쪽에서 다 부담을 못하니까."

하지만 여전히 걸림돌은 많습니다.

동양건설산업의 담보 부담 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삼부토건은 동양건설 측의 부담까지 떠안을 순 없다며 채권단의 담보 제공 요구에 선을 긋고 있습니다.

두 건설사의 법정관리라는 상황이 현실화되면 부실 여파가 건설업계 전반에 확산될 수밖에 없어, 건설업계와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정현(we_friends@mtn.co.kr)입니다.

베스트 클릭

  1. 1 스시 시켰더니 '벌거벗은 여성'이… 사무라이 악습 따라한 대만
  2. 2 개미 팔아치웠더니 53% '껑충'…외인·기관만 웃었다
  3. 3 "중환자실 유재환, 산소호흡기 떼려고 몸부림 쳐"…모친이 전한 그 날
  4. 4 집주소도 털린 '밀양 가해자' 잠적?…"차도 없고 종일 불 꺼놔" 목격담
  5. 5 "치킨 안 팔리겠네" 한국축구 충격의 탈락…물 건너간 올림픽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