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는 영업정지 저축은행서 미리 돈뺐다..."8% 수익"

머니투데이 임상연, 김성호 기자 | 2011.02.21 14:37

'영업정지' 중앙부산저축銀에 2006년 50억 투자, 반년 협상끝 2009년 완전회수

서울대학교가 19일 영업정지 조치를 받은 중앙부산저축은행에 50억원을 투자했지만 위험분석을 통해 자금을 조기 회수, 8%의 수익까지 올린 것으로 밝혀졌다.

기관투자가들이 저축은행의 잇단 영업정지로 투자했던 돈을 날릴 위기에 처한 것과 대조적이다.

21일 서울대학교 및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서울대학교 발전재단기금은 지난 2006년 9월 KTB자산운용과 부산저축은행 컨소시엄에 참여, 중앙부산저축은행(옛 중앙저축은행) 인수에 50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서울대는 KTB자산운용이 100억원 규모로 설립한 'KTB SB 사모투자펀드(PEF)'에 50억원을 투자했고, 이 PEF는 중앙부산저축은행 지분 55%를 인수했다. 중앙부산저축은행의 실질적인 지배주주가 된 것이다.

하지만 서울대는 2007년 4월 원금의 절반가량인 25억원을 12% 가량의 수익을 내고 중도 상환했다. 나머지도 2009년 4월 제3자 매각 방식으로 처분했다. 제3자 매각으로도 4% 정도의 수익률을 올렸다. 이에 따라 총 투자수익률은 8% 가량을 기록했다.

서울대가 투자한지 3년도 채 안돼 중앙부산저축은행에서 발을 뺀 것은 금융위기이후 국내 저축은행의 건정성이 악화될 것을 우려해서다.

서울대 발전재단기금 관계자는 "금융위기이후 저축은행이 안 좋아질 것으로 보고 선제적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PEF 투자자금을 전액 회수했다"며 "조기 자금회수로 투자원금은 물론 수익까지 올릴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PEF는 원활한 투자 및 자금회수를 위해 투자이후 출자자 지분매각이 매우 까다롭다. 서울대 역시 KT자산운용과 부산저축은행 등 주요 주주 등과 6개월간의 마라톤 협상 끝에 지분매각에 성공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2008년 말부터 저축은행에서 발을 빼기로 했지만 협상이 쉽지 않았다"며 "6개월 동안의 협상 끝에 지분을 매각, 완전히 엑시트(Exit)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대가 부실 저축은행에 투자하고도 수익을 낼 수 있었던 것은 외부 투자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역할이 컸다. 서울대가 6개월간의 협상 끝에 중앙부산저축은행 투자자금 회수에 나선 것도 자문위원회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

99년부터 운영된 서울대 발전기금 자문위원회는 현직 증권 및 운용사의 CEO(최고경영자), CIO(운용본부장) 등 14명의 외부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업계 최고 실력자들이다.

발전기금 자문위원회 한 위원은 "자문위원회는 현직에 있는 동문들을 중심으로 운영되지만 투자 청탁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명단 공개는 비밀"이라고 말했다.
그는 "발전기금 운용과 관련된 시장전망, 투자방향 등 자문 역할이 주요 역할"이라며 "자문은 물론 투자전략까지 세부 방안을 제시해주는 등 실질적인 자산운용을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관계자는 "대학 내 자문위원회라도 현직 투자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전략이나 리스크관리는 일반 금융회사 못지않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김호중 콘서트 취소하려니 수수료 10만원…"양심있냐" 팬들 분노
  2. 2 [영상] 가슴에 손 '확' 성추행당하는 엄마…지켜본 딸은 울었다
  3. 3 '100억 자산가' 부모 죽이고 거짓 눈물…영화 공공의적 '그놈'[뉴스속오늘]
  4. 4 속 보이는 얄팍한 계산…김호중, 뺑소니 열흘만에 '음주운전 인정'
  5. 5 [단독] 19조 '리튬 노다지' 찾았다…한국, 카자흐 채굴 우선권 유력